경기도 김포시에 이어 구리시까지 서울 편입을 추진하면서 서울 인접 지방자체단체와 시민들도 술렁이고 있다.
일단 서울 인접 지자체는 ‘메가 서울’ 추진을 관망하며 여론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아직 우리 시에서 논의된 바 없다. 섣불리 의견을 내놓을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성남시도 서울 편입과 관련해 공식 입장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자체들은 정치권의 ‘메가 서울’ 추진과 여론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구리시의 경우 지난달 31일 서울시 편입이 아닌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힘쓰겠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불과 이틀 만에 이를 완전히 뒤집었다.
반면 접경지역 서울 자치구는 시큰둥하다. 교통·생활 인프라 발전이 더뎌지고 강남·북 균형발전에 역행이 될 것이라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노원구 관계자는 “김포시도 베드타운인 데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인프라나 이런 것을 투자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노원구같이 재정자립도가 낮은 구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내년도 세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우려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구로구 관계자도 “논의된 사항은 없다”면서도 “신중히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구청장협의회를 통해 일치된 의견이 나오고서야 대응이 가능할 것 같다”고 전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경기도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대한민국 전체를 발전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경제정책’”이라며 “여당 대표가 이야기하는 것은 ‘정치적 계산’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서울 인접 지역 지자체 시민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 속에서 발전은커녕 혐오시설만 떠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김포시에 거주하는 김모씨는 “서울시 편입으로 그동안 김포시가 겪어왔던 김포골드라인, 5호선 연장 등 교통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집값도 올라갈 것으로 생각되는 등 재산권에도 이득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반면 정모씨는 “김포시의 항구와 매립지 등 이점만 취하고 서울시의 혐오시설만 채워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서울 편입을 찬성하는 한 고양시민은 “고양이 경기북도에 편입된다면 주요 행정기관은 의정부나 양주로 집중할 것”이라며 “인구 100만이 넘는 고양시가 경기북부의 중심이 돼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서울에 편입된다면 서울에서도 고양시는 목소리를 내는 중요 도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다른 고양시민은 “현재 서울시가 고양시 지역에서 운영하는 기피시설만 해도 화장장, 묘지, 봉안당, 음식물처리시설 등 수두룩하다”며 “서울시에 편입된다면 기피·혐오 시설만 가득 들어찰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고양·구리=박재구 기자, 김이현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