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일 국민의힘의 ‘메가 서울’ 프로젝트에 맞서 ‘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안’ 카드를 꺼내 들었다. 김포시민들이 겪고 있는 출퇴근길 교통난을 해결할 수 있는 모범답안은 여권이 주장하는 김포의 서울 편입이 아니라 지하철 5호선 연장이라는 것이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현실성 없고 졸속인 김포의 서울 편입안보다는 김포 주민이 실제 어려움을 겪는 것은 교통 문제”라며 “(정부·여당이) 5호선과 관련된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와 연장 확정을 이번 예산안에 담고자 한다면 민주당은 담겠다”고 밝혔다.
홍 원내대표는 이어 “정부는 이번 예산안에 5호선 연장과 관련한 어떤 입장도 제시하지 않았다. 언행이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안을 가지고 오라. 이번 정기국회 내에 처리해서 내년도에 바로 5호선 연장 사업이 시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이 반격책으로 내놓은 ‘5호선 연장안’은 서울 방화역∼인천 검단신도시∼김포 한강신도시를 연결하는 신설 노선 사업을 지칭한다. 정차역을 놓고 인천시와 김포시가 팽팽하게 맞서면서 사업이 지체되고 있다.
민주당은 또 김포가 서울에 편입될 경우 떠안을 부작용을 부각시키면서 ‘메가 서울’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은 겉으로는 해당 지역 여론을 고려해 ‘신중히 접근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실제로는 ‘메가 서울’ 반대쪽으로 기운 모양새다.
김두관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도 수도권 매립지가 김포에 있다”면서 “서울의 ‘3D 업종’이라든지 혐오시설을 대거 김포로 갖다 놓으려는 숨은 의도도 있지 않은가”라고 주장했다.
서울 편입으로 김포 재정이 악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도 지역은 법인세 지방분을 기초자치단체가 받게 돼 있는데 (서울에서는) 이 지방분이 서울시로 간다”면서 “(김포가 서울로) 편입되는 순간 국비 지원을 못 받고 담뱃세·자동차세·취득세에 의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메가 서울’을 통해 교통난이 해소될 것이라는 분석에 대해서도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정성호 의원은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교통 문제를 해결하려면) 서울 중심에 연결될 수 있는 도로·철도를 김포에 놔야 하는데 서울시가 그 예산을 준다는 보장이 없다”고 주장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