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사 임단협 극적 합의… 사상 첫 파업 위기 넘겨

입력 2023-11-01 04:06
포스코노동조합이 지난 6일 오후 전남 광양제철소 앞에서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 노사가 ‘밤샘 회의’ 끝에 31일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이로써 포스코는 창립 55년 만에 닥친 첫 파업 위기를 한고비 넘겼다.

이날 포스코 노사에 따르면 포스코 복수노조 중 대표교섭 노조인 한국노총 포스코노동조합(포스코노조)은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 조정회의에서 회사 측이 제시한 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전날 오후 3시 세종에서 열린 조정회의는 밤새 이어져 다음 날 오전에야 끝났다.

합의안의 주요 내용은 기본임금 10만원 인상(자연 상승분 포함 17만원 수준), 주식 400만원 지급, 일시금(비상경영 동참 격려금) 250만원, 지역상품권 50만원, 격주 4일 근무제 도입 등이다. 잠정 합의안은 전년도 수준을 웃돈다. 노사는 이와 별개로 경영성과금 제도와 직무급제 도입, 복리후생 재설계 등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아직 잠정 합의안 수용 여부를 묻는 조합원 찬반 투표 절차가 남았다. 투표에서 과반수가 찬성해야 올해 임단협 교섭이 최종 타결된다. 부결 시 재협상해야 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어려운 회사 여건에도 불구하고 임단협 교섭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예년 대비 높은 임금 인상률을 제시했다”면서 “잠정 합의안 조합원 투표 절차까지 원만하게 마무리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원만하게 타결될 경우 안정적인 철강재 공급을 통해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후방 산업과 산업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5월 24일 상견례 후 지난달 5일까지 총 24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협상이 평행선을 달리자 노조는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지난달 10일 중노위에 조정 신청서를 냈다. 조정 기간에는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해 ‘파업권’을 확보했다. 포스코 노조가 쟁의행위를 결의한 것은 1968년 창사 이래 처음이었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