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는 창원국가산업단지에 첨단기계 산업을 유도하고, 융·복합소재산업 등 고도화된 산업단지로 전환을 위해 복합용지 개발을 한다고 30일 밝혔다. 복합용지는 산업, 상업·업무, 주거, 지원·물류 시설 등이 단일부지에 융·복합해 입지 가능한 용지다.
창원국가산단은 지난 1974년 지정·조성돼 50년 가까이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 왔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며 서비스업의 상승과 첨단기능의 강화, 창조융합으로 산업구조가 급변함에 따라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시는 노후된 창원국가산단에 활력을 불어넣고 변화된 산업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해 기반시설 재생과 창원국가산단 혁신거점을 확충하는 동시에 민간자본을 활용한 투자방안의 하나로 복합용지 개발사업을 도입해 추진 중이다. 지난 2017년 3월 국토교통부 노후 산업단지 재생사업 공모에 창원시가 선정되면서 창원국가산단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재생사업지구의 산업입지기능 향상과 기반시설, 편익시설을 확충, 개량하기 위해 민간투자 복합용지 개발 가용지 26만7000㎡(재생사업지구 전체 면적의 6.2%)를 국토교통부로부터 최종 승인 받았다. 복합용지의 용도지역은 일반공업지역에서 준공업지역으로 상향되고, 도시계획조례에 따라 인센티브를 받으면 용적률이 400%에서 480%(1.2배)로 완화된다. 첨단기계 산업지구, 융·복합소재산업 지구에 1만㎡ 이상 규모의 블록 단위로 복합용지를 추진, 산업시설과 다양한 지원시설도 함께 개발해 변화하는 산업의 흐름을 반영할 수 있다.
시는 복합용지 산업시설 용지를 원가로 공급해 창원국가산단 재생사업의 민간투자 유도와 부족했던 창원국가산단의 산업시설 용지를 기업인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문상식 도시정책국장은 “전국 최초로 시행되는 민간투자 복합용지 사업인 만큼 민간자본을 유치해 기업인에게 더욱 나은 산업시설 용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