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3분기 깜짝 성장률을 기록했다. 소비자들이 지갑을 연 탓인데 4분기 이후부터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침체에 빠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미 상무부는 26일(현지시간) 올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4.9%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속되는 고물가·고금리에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면서 시장 전망치보다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미 상무부 발표를 인용해 “앞서 경제학자들이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정책 영향으로 올 여름 경제가 다소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소비 강세에 예상했던 것보다 성장세가 훨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4.9%는 지난 2분기 성장률(2.1%)보다 크게 뛴 수치이자 2021년 4분기(7.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WSJ가 집계한 전문가들의 3분기 전망치(4.7%)도 상회했다.
여름 휴가철 소비가 증가한 것이 3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린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개인소비 증가율은 4.0%로 2분기(0.8%)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앞서 월가에서는 인기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와 비욘세의 순회공연과 영화 ‘바벤하이머(바비·오펜하이머)’ 열풍이 미국 내 소비를 주목할 만하게 끌어올렸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팬데믹 기간 축적된 초과 저축과 높은 고용 부문도 성장세를 뒷받침했다. 미국의 9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33만 6000개 늘어 시장 예상(17만개)을 크게 상회했으며 같은 달 소매판매도 지난달보다 0.7% 증가하며 시장 예상을 웃돌았다.
다만 4분기 이후에도 이런 성장세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이어지는 고금리 고물가로 인해 소비가 점차 위축될 수 있어서다. 최근 장기 국채금리가 급등한 것도 성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