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 빈자리 채운 이주노동자… 울산 인구 7년 만에 늘었다

입력 2023-10-24 04:06
울산시 동구 현대외국인학교 학생들이 지난달 추석을 앞두고 열린 ‘한국문화 체험 행사’에서 한복을 입고 대문 놀이를 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 제공

조선업 호황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유입 증가에 힘입어 울산시의 총인구가 2016년 5월 이후 88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했다. 내국인의 빈자리를 외국인 노동자들이 지속적으로 채워주며 울산 지역의 순유출 인구 폭을 상쇄한 것이다. 지역 구인난 해소는 물론 소멸 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최근 조심스럽게 제기되는 외국인 이민이 장기적으로 저출산 문제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울산시는 2023년 9월 말 기준 인구를 분석한 결과 인구 감소세가 시작된 2016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보다 457명 늘었다고 2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울산의 총인구는 112만6671명이다. 내국인은 110만4167명, 외국인은 2만2504명이다.

울산 총인구는 2015년 12월부터 2023년 9월까지 94개월간 감소세를 보여왔다. 2016년 5월 일시적으로 188명 증가한 적은 있다. 올해 울산의 총인구는 1월부터 9월까지 2371명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8512명 감소와 비교할 경우 감소 규모가 대폭 줄어들었다.

최근 20개월간 지속된 외국인 증가 추세가 내국인 감소를 상쇄시키며 총인구 증가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은 전월 대비 738명 증가했는데 증가 폭은 점차 늘고 있다. 울산의 외국인은 올해 4125명 증가했다. 2022년 889명 증가와 비교했을 때 3236명(364.0%) 늘어난 것이다. 외국인은 올해 동구 2625명, 울주군 821명, 북구 346명 순으로 증가했다. 특히 동구는 지난 10여년간 조선업 불황 여파로 지방소멸 위기 지역으로 분류됐지만 최근 외국인 근로자 덕분에 새로운 활력을 되찾고 있다. 국적도 베트남과 태국 등 12개국에 달한다.

울산시는 심각한 인력난을 겪는 외국인 노동자 수급을 위해서 정부에 외국인 노동자 12만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지역민 10%에 상당하는 ‘외국인 노동자 쿼터제’를 공론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시장이 외국인 노동자 쿼터제를 공론화하는 배경에는 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의식이 있다.

법무부도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이주노동자 유입 문턱을 대폭 낮췄다. 조선소 용접공·도장공 일반기능인력 비자(E-7-3) 할당 인원수를 폐지하고 내국인의 30%까지 고용을 허용한 상태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지난달 “대한민국 국익에 기여할 것이 검증된 외국인 근로자에게 영주 정착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지난달 미국 예일대 특강에서 “이민이 저출생 문제의 또 다른 해법이 될 수 있다”며 “아직 초기 단계지만 논의가 시작됐고 1~2년 후 많은 국민이 점점 동의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일각에선 지역 내 외국인 급증에 따른 환경 변화 등으로 막연한 불안감을 호소하는 지역주민의 민원이 잇따라 대책 마련 역시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울산=조원일 기자, 신지호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