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중국과 일본에 다음 달 26일을 전후로 외교장관 회의를 제안했다고 교도통신이 19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2019년 12월 이후 약 4년간 개최되지 않은 한·중·일 정상회의가 연내 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한국 제안에 응하는 쪽으로 검토 중이다. 중국 반응과 국제정세를 바탕으로 3국이 일정을 조율해 최종 날짜를 확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장관 회의에는 박진 외교부 장관,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한·중·일 간 만남은 통상적으로 실무자급 회의에서 외교장관 회의, 정상회의 단계로 진행된다. 이번 외교장관 회의가 성사되면 3국 정상회의 개최에 청신호가 켜질 수 있다. 회의에서 정상회의 개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3국 정상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뒤 한·일 관계 경색과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4년째 열리지 않았다. 교도통신은 “이번 외교장관 회의는 4년째 끊어진 3국 정상회의를 위한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 정부의 이번 제안은 한·일 관계가 우호적 흐름을 지속하는 데 이어 중국과의 거리도 좁혔다는 판단에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청두 정상회의 이후 한·중·일 협의체 의장국 지위를 넘겨받았다.
미국과 대립 중인 중국으로서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한·일의 미국 밀착을 견제할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한국 정부는 지난 17~18일 베이징에서 진행된 ‘제3회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을 파견했다. 조 장관의 참석을 두고 올해 안에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26일 정례브리핑에서 “한 일 중 고위급 회의를 통해 3국 정상회의를 상호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