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보도된 ‘가짜 녹취록’ 등장인물이 검찰 조사에서 최재경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을 만난 적이 없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녹취록 속 실제 발언자가 더불어민주당 소속 보좌관임에도 최 전 중수부장인 것처럼 고의적 조작이 있었다고 보고, 관련 보도 경위와 공모자 및 배후를 확인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부장검사)은 최근 ‘대장동 대출 브로커’ 조우형씨의 사촌형인 이모씨를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녹취록에 등장하는 이씨로부터 “최 전 중수부장을 직접 본 적 없다”는 내용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해 3월 ‘최재경 녹취록’을 근거로 한 인터넷 매체 리포액트의 보도와 배치된다. 리포액트 허모 기자는 대선을 8일 앞둔 지난해 3월 1일 윤석열 대통령이 2011년 부산저축은행 수사 과정에서 조씨를 봐줬다는 취지의 기사를 보도하며, 이에 대한 근거로 최 전 중수부장과 이씨 간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이씨가 ‘김양 (부산저축은행) 부회장이 구속되기 전 조우형이 김 회장의 심부름꾼이었거든요’라고 말하자 최 전 중수부장은 ‘윤석열이 그런 말 했다’고 맞장구쳤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대해 이씨는 검찰에서 대체적인 발언은 자신이 한 게 맞지만, 대화 상대는 최 전 중수부장이 아니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검찰은 최 전 중수부장으로 등장한 인물이 김병욱 민주당 의원의 보좌관 최모씨였던 것으로 본다. 2021년 12월 김 의원도 동석한 자리에서 최씨와 이씨가 대화한 내용이 녹취록 형태로 허 기자에게 전달됐다는 것이다. 허 기자는 이날 SNS를 통해 “취재윤리를 위반할 만한 것을 한 게 없고 모든 보도 과정은 기자의 양심에 기초해 준비하고 검증했다”고 주장했다.
수사팀은 조작된 녹취록이 수개월 뒤 대선 임박 시점에 보도된 데는 민주당 대선캠프의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의심한다. 김 의원은 대선 당시 ‘윤석열 은폐수사 및 50억클럽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