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위기에 더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기업대출 잔액이 급증하며 부실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 연체율 상승세를 보이는 기업대출이 새로운 부실 뇌관으로 떠오를 수 있는 만큼 정책 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1268조5570억원으로 전년 대비 92조7950억원(7.9%) 증가했다.
기업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1010조9160억원으로 1년 전보다 48조3630억원 늘었다. 최근 5년간 증가 규모는 337조원으로 증가율은 50%에 달한다. 중소기업 대출 증가율은 같은 기간 가계대출 잔액 증가율(31.2%)과 주택담보대출 잔액 증가율(36.4%)을 크게 웃돌았다.
은행권은 가계대출 급등세를 누르려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가계대출을 줄이고 기업대출을 늘려 왔다.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은 최근 앞다퉈 기업금융 성장세를 강조했다.
그러나 기업대출 증가는 당장 수익성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부실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다. 특히 고금리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면 기업의 상환 능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지난달 통화신용정책 보고서를 통해 기업대출이 금융시장 불안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 0.22%에서 올해 6월 0.37%로 1년 새 0.15% 포인트 상승했다.
이미 충당금을 쌓아 놓은 은행권은 추가적인 손실 흡수 능력 확대가 중요해졌다. 올해 상반기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시중은행 5곳의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은 2조69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7% 늘었다. 잠재 부실 규모도 증가세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 6월 말 기준 요주의여신 총액은 6조8483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말(6조2642억원)보다 9.3% 증가했다. 2018년 3분기 이후 최대 규모다. 요주의여신은 여신 분류 기준상 ‘고정’ 이하로 부실화가 진행되기 직전 단계여서 상황에 따라 언제든 부실화할 수 있는 잠재 부실 대출을 의미한다.
기업부채 연착륙을 위한 기업금융 건전성 관리 대책 필요성이 제기된다. 진 의원은 “영세 중소기업과 한계기업 등 취약 업종의 연체율 상승세가 기업대출 전반의 부실화로 확산되지 않도록 기업금융 건전성 관리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