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영 구속 연장… 檢, 이재명 수사 동력 다시 얻었다

입력 2023-10-16 04:02
쌍방울 그룹의 대북송금 의혹 등으로 구속기소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지난해 9월 27일 수원지방검찰청 청사로 입장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구속 기한이 연장되면서 검찰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 동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 검찰은 앞서 이 대표 구속영장 청구서에 포함시켰던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뿐 아니라 대선 경선 당시 쪼개기 후원 등 추가 의혹 수사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수원지검이 이를 맡을 전담수사팀을 가동한 상황이라 이 전 부지사와 이 대표 간 ‘연결 고리’를 규명하기 위한 고강도 수사가 이어질 전망이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서현욱)는 지난 13일 구속 기한이 연장된 이 전 부지사를 상대로 쌍방울 쪼개기 후원, 선거캠프 무상 사용 의혹 등을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의혹 역시 이 대표가 최종 수혜자로 지목돼 있다.

쪼개기 후원 의혹은 2021년 민주당 내 대선 경선 당시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이 이 대표 측에 쪼개기 방식으로 억대 후원금을 냈다는 내용이다. 이 전 부지사는 김 전 회장에게 후원을 직접 부탁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전 회장은 지난 8월 이 전 부지사 대북송금 사건 공판에 출석해 “이화영이 ‘이낙연 쪽하고 비교해 후원금이 첫날 압도적으로 (많이) 들어오면 경선 국면에 유리하지 않겠냐’고 부탁했다”며 “직원 등 여러 명 이름으로 1억5000만~2억원을 기부했다”고 주장했다. 또 “후원금을 보냈다고 하자 이 전 부지사가 ‘고맙다’고 했다. 후원 사실을 이 전 부지사가 이 대표에게도 직접 얘기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검찰은 지난달 8일 중앙선관위에 압수수색영장을 제시하고 당시 후원자 명부 등을 확보했다. 정치자금법은 대선 경선 후보자 후원회에 1인당 1000만원까지 기부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검찰은 이 전 부지사가 2021년 12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건설업자 A씨로부터 제공받은 경기도 용인 소재 주택을 이 대표 대선 캠프로 무상 이용했다는 의혹도 살펴보고 있다. 이 전 부지사는 A씨로부터 거액의 불법 자금을 수수한 혐의도 받는다. 그는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 전 부지사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관련 의혹을 조사했다.

이 전 부지사는 ‘쌍방울 대북송금을 이 대표에게 보고했다’는 검찰에서의 진술을 최근 뒤집은 바 있다. 검찰은 진술 번복 배경에 민주당 측 회유가 있었던 것으로 의심한다. 수원지검은 최근 전담수사팀을 꾸리고 이 전 부지사 관련 의혹, 경기도 법인카드 유용 의혹 등을 부서별로 재배치하며 강도 높은 수사를 예고했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