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일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으로 재판에 넘겨졌다. 이미 공판이 진행 중인 대장동·위례신도시 개발 특혜 의혹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이어 세 번째 기소다. 이 대표는 지금까지 자신을 향한 검찰의 모든 수사를 정치 보복이라고 주장해왔다. 검찰권을 동원한 부당한 탄압에 당당히 맞서겠다는 입장을 조금도 굽히지 않았다. 이제 ‘재판의 시간’이 시작됐고, 이 대표는 장담했던 것처럼 재판에 성실히 출석해 법정에서 무죄를 입증해야 한다. 혹시라도 다가오는 총선 또는 대선을 염두에 두고 재판을 지연시키거나, 거대 야당 대표라는 지위를 앞세워 사법부의 판단에 압력을 가하는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될 것이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의 승리로 민주당은 한껏 고무돼 있다. 하지만 이번 보궐선거에서의 민심을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하거나 불필요하게 과장하는 것은 곤란하다. 보궐선거의 원인을 제공한 사람을 다시 공천한 무리수, 소홀했던 통합과 협치의 노력 등 집권 여당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민주당의 승리를 불러온 가장 큰 이유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온전히 떠안은 채 강성 지지자에게 휘둘리는 민주당을 지지한 것이 아니다. 민주당도 이를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이 대표가 “승리에 따른 축제 분위기가 아니라 더 큰 반성과 각오의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한 것도, 홍익표 원내대표가 “선거 결과는 민주당에 대한 신뢰라기보다 제대로 하라고 기회를 준 것”이라고 강조한 것도 이런 민심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일 것이다.
민주당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에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을 색출하는 식의 비정상적인 당내 갈등이나 비명계와 친명계의 공천 전쟁으로 낭비할 시간이 없다. 변화와 혁신으로 당내 민주화를 이루고, 포용과 화합의 정치를 복원해 다양한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당장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벌어지는 무리한 정치 공세부터 걷어내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구속영장 기각이 무죄 확정 판결이 아닌 것처럼 보궐선거의 승리가 민주당에 대한 유권자의 무조건적 신뢰가 결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