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야심차게 내놓은 ‘온라인 예·적금 중개 상품 서비스’가 1년이 지나도록 구색을 갖추지도 못하고 있다. 25개 사업자 중 2곳만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마저도 입점한 제휴사가 부족해 금융 소비자들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일부 시중은행은 플랫폼 입점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금융 소비자 편익을 높인다는 혁신금융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온라인 예·적금 중개 서비스 사업자로 지정된 25개 업체 중 신한은행, 네이버파이낸셜 2곳만 관련 서비스를 출시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6월 21일 중개 서비스를 시작했다. 핀테크 업계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이 지난달 말 서비스를 개시했다.
온라인 예·적금 중개 플랫폼은 온라인에서 금융사의 예·적금 상품 금리와 특징을 비교하는 것에 더해 개인별 맞춤 상품을 추천받고 바로 가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서비스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은행권 경쟁 촉진과 금융 소비자의 편익 증진을 위해 이를 혁신금융 서비스로 지정했다.
지난해 11월 뱅크샐러드·NHN페이코·비바리퍼블리카(토스)·네이버파이낸셜 등 8개 핀테크 기업과 신한은행이 혁신금융 서비스로 지정됐다. 지난 6월엔 삼성·신한·KB국민·비씨·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 등 카드사와 카카오페이·핀다·베스트핀 등 16개 사업자가 추가됐다.
그러나 1차 지정 당시 핀테크 업체 대부분은 올해 3분기까지 이 서비스를 출시하겠는 방침을 세웠지만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연내 출시도 불투명하다.
제휴사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금융사 제휴가 없으면 서비스는 기존처럼 간단한 금리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다. 신한은행의 경우 마이데이터를 통한 비교 추천 서비스를 받아 예·적금 상품이 가입 가능한 제휴사는 계열사인 신한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 3곳뿐이다. 네이버는 현재 전북은행, 경남은행, 부산은행, 웰컴저축은행 4곳의 금융사 입점에 그쳤다.
리딩뱅크 경쟁 중인 두 시중은행이 플랫폼 업체 서비스 입점에 비협조적 태도를 보이면서 출시는 난항을 겪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교·추천 서비스 수요 확대를 위해선 제1 금융권의 참여가 필수적인데, 리딩뱅크 경쟁을 펼치는 이들 시중은행은 제휴 협상 테이블에도 좀처럼 앉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쟁사에 고객을 빼앗길 수 있는 통로를 굳이 열어줄 필요가 없는 데다 현재로선 고객 모집에 대한 위기감도 크지 않은 탓이다. 반면 점유율 확보가 시급한 다른 시중은행들은 비교적 적극적으로 제휴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금융사의 소극적인 태도가 지속되면 은행권 경쟁 촉진은커녕 시장의 냉담한 반응 속에 서비스는 잊힐 수밖에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비스가 시행되자마자 실효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소비자들 외면을 받아 고꾸라지는 게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