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기업 대유위니아그룹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라 광주·전남지역 협력사가 줄도산 위기를 맞고 있다.
광주에 생산거점을 둔 대유위니아그룹의 위니아전자, 대유플러스, 위니아 등이 9월 20일부터 10월 4일 사이에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김치냉장고 ‘딤채’를 생산하는 핵심 계열사 위니아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을 만드는 위니아전자, 전기차 충전사업 등을 담당하는 대유플러스에 부품 등을 공급해온 지역 협력사들은 납품 대금을 떼일 처지에 놓였다. 1차 협력사 150여개, 2·3차 협력사 300여개사 등 450여개사로 이중 300여개사가 광주·전남에 있는 기업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역 가전업계는 어림잡아 1000억원 이상의 협력사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피해액수는 협력사별로 적게는 5000만원에서 많게는 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지역 협력사들이 주축이 된 위니아채권단은 10일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개최하고 위니아 측의 신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사전 설명이나 사과도 없이 일방적으로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이후에도 홈쇼핑에서 판매행위를 하는 위니아는 사회적 기만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며 “곧 어음만기가 도래해 줄도산 위기가 코앞에 닥쳤는데도 위니아 측은 아무런 대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먼저 긴급 금융지원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광주상공회의소도 이날 호소문을 내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광주상의는 “줄도산이 현실화하면 당장 지역경제가 송두리째 휘청거릴 뿐 아니라 일자리 감소, 기술인력 역외유출 등 가전산업 전반의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또 “긴급 경영안정 자금지원 등을 위한 지자체와 중앙정부 차원의 전담 기구 구성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의 한 협력사 대표 A씨는 11일 “지역 중소기업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이라며 “지역경제의 뿌리를 지키기 위한 묘안을 서둘러 짜야 한다”고 호소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