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 개인형 이동수단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탑재해 장애물과 노면 파손 등 자전거 도로의 위험 요소와 위치를 자동 관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기술에 이용된 깊이 카메라는 관측한 대상의 시차(한 물체를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볼 때 생기는 방향 차이)를 바탕으로 거리 정보를 계산하는 장비다. 개인형 이동 수단에 부착하는 IoT 센서 종류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와 지면 온도, 온·습도, 대기압 등 기상·환경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이번 기술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도 구축한다.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플랫폼에 전송해 자전거 도로의 위험 지도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도로관리청, 지방경찰청 등이 디지털화한 정보를 수집·분석해 도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존 자전거 도로 지도 애플리케이션 등과 플랫폼 연계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
김병석 원장은 “자전거 도로의 위험 요소 탐지를 위한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추후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실증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