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 구미시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고 있다. 낙동강 물 문제로 생긴 균열이 대구경북통합신공항(TK신공항) 때문에 더 벌어지고 있다.
대구시와 구미시는 최근 다시 낙동강 문제로 설전을 벌이고 있다. 대구시가 구미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에 무방류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으면 공장 가동을 막겠다고 밝히자 구미시는 자유시장경제 체제를 부정하는 반헌법적 처사라며 반발했다.
이에 대구시는 그동안 방치됐던 낙동강 하류의 실질적 동의권을 적극 행사할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주민 의견 등 청취에 대한 규정, 관할 시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다는 내용의 규정 등을 종합하면 상류지역에 오염물질 배출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하류 지역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법률 해석이 타당하다고 대구시는 판단하고 있다.
대구시와 구미시의 취수원 이전 갈등은 2009년 본격화돼 난항을 거듭하다 우여곡절 끝에 낙동강 구미공단 상류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합의에 이르렀다. 하지만 민선8기 시작과 함께 구미시가 취수원 다변화 협약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협정이 해지됐고 이에 대구시는 안동댐 물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게 됐다.
대구시와 구미시의 갈등에 다시 기름을 끼얹은 것은 TK신공항 문제다. 대구시에서는 구미시가 최근 TK신공항 관련 물류단지 조성과 구미-군위 고속도로 건설 추진 계획을 독단적으로 발표한 것이 경북 의성군의 화물터미널 위치 반발을 불러왔다고 보고 있다. 신공항 물류단지 기능을 구미에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의성군이 군위 건립 예정 화물터미널이 의성으로 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원인이 됐다는 것이다.
또 활주로가 구미시 쪽을 향해있어 소음 피해는 물론 정밀성을 요구하는 반도체산업 등 첨단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도 대구시를 자극했다. 이에 대구시가 하류 동의권 카드를 꺼낸 것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10일 기자간담회에서 “낙동강 물 문제, TK신공항 화물터미널 문제가 불거졌을 때 경북도가 신속하게 나서서 정리하지 못했다”며 “경북도도 사태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