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인 담임목사는 부임 1년 만에 사망했다. 향년 34세였다. 헛된 죽음은 아니었다. 교단이 팔을 걷어붙였다. 3년 뒤 선교사 3명이 왔다. 이후 선교사 200여명이 하나둘씩 파송된다. 조선에 도착한 선교사들은 교회 학교 병원을 세우면서 조선인을 섬겼다.
8일(현지시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한인교회(최병필 목사) 주일설교는 역사 수업에 가까웠다. ‘한국 최초의 자생교회’인 소래교회의 초대 담임목사 윌리엄 존 맥켄지(사진·1861∼1895) 선교사가 메시지의 주인공이었다. 이날 최병필 목사는 설교 ‘맥켄지의 선물’(잠 18:16)에서 “자비량 선교사였던 맥켄지 선교사의 죽음은 캐나다 교회가 조선 선교에 관심 두게 된 불쏘시개가 됐다”며 “교회 교육관 내 최근 마련된 선교관에 방문해 선교사들의 정신과 신앙을 본받자”고 말했다.
해외한인장로회(KPCA) 캐나다 동노회(노회장 유은상 목사)는 지난 4일(현지시간) 맥켄지 선교관 개관식을 열었다. 맥켄지 선교사 추모 동판도 같은 날 교회 화단에 세워졌다. 선교관엔 서울 연동교회(김주용 목사) 초대 목사인 제임스 게일(1863~1937)부터 한국 의료선교의 선구자 로제타 홀(1865∼1951) 등 캐나다 출신 선교사 200여명의 사역이 소개돼 있다.
이현성 기자 sag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