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장애 학생 2년 새 42% 급증

입력 2023-10-09 04:02
누리집 홈페이지 캡처

언어장애를 겪는 학생이 급증하고 있지만 학교 현장의 언어재활사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전국 초·중·고(특수학교 및 일반 학교 모두 포함) 특수교육 대상자 중 언어장애 학생은 2만702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만3966명보다 12.7% 늘었고, 2년 전인 2021년 1만9102명과 비교하면 무려 41.5% 증가한 것이다.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 학교에 다니는 언어장애 학생은 2021년 1만4440명에서 올해 2만1166명으로 46.6% 늘었다.

언어재활사 인력은 언어장애 학생 증가세에 대응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올해 기준으로 전국 초·중·고교에 배치된 언어재활사는 81명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모두 특수학교에 배치됐고, 일반 학교에서 언어장애 학생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인력은 ‘0명’인 상황이다. 학교 안에서 별다른 지원을 받지 못하는 일반 학교 언어장애 학생들은 방과 후 언어치료센터를 통해 치료할 것을 권유받고 있다.

학계에선 스마트폰과 코로나19 등으로 의사소통에 문제를 겪는 학생이 늘고 있다고 보고 있어 교육 당국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