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화학상은 나노 크기의 초미세 입자인 양자점(퀀텀 도트)을 발견하고 상용화에 기여한 과학자 3인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4일 문지 바웬디(62)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루이스 브루스(80)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알렉세이 예키모프(78) 미국 나노크리스털 테크놀로지사 박사 등 3명에게 노벨화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바웬디는 프랑스, 브루스는 미국 오하이오, 예키모프는 옛 소비에트연방에서 각각 태어났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은 양자(퀀텀) 현상에 따라 특성이 결정될 만큼 작은 입자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양자점이라고 불리는 이 입자는 현재 나노기술 분야에서 중요성이 매우 크다”며 “양자점은 향후 휠 수 있는 전자기기, 초소형 센서, 초박형 태양전지, 양자 암호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자점은 크기가 수∼수십㎚(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반도체 결정으로 수상자 중 한 명인 과학자 예키모프가 1981년 처음 발견했다.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적·광학적 특성은 현재 QLED TV 소재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암과 같은 종양의 이미지를 지도처럼 정확히 그려내 수술을 돕는 데도 쓰이고 있다. 양자점은 높은 에너지 효율과 내구성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프로브 등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소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 산업에서는 임신테스트기나 코로나 자가검진키트 등의 정확도를 끌어올릴 수 있고, 크기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내는 특징을 기반으로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조영제 등 활용 범위가 넓다는 설명이다.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3억5000만원)가 수여된다. 상금은 연구 기여도에 따라 나눠 갖는다.
이날 노벨화학상 수상자 명단은 공식 발표시간 이전에 주최 측에 의해 사전 유출되기도 했다. 로이터통신과 AP통신 등 외신과 스웨덴 매체들은 4일(현지시간) 노벨화학상 수상자 3명의 명단이 발표 예정시간보다 몇 시간 이른 이날 아침에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스웨덴 SVT 방송은 노벨화학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가 화학상 수상자 3명의 명단이 담긴 보도자료 이메일을 실수로 보냈다고 전했다. 현지 일간 엑스프레센도 수상자 발표 예정시간이 현지시간 오전 11시 45분(한국시간 오후 6시 45분)이지만, 문제의 보도자료 이메일은 오전 7시 31분(한국시간 오후 2시 31분)에 왔다고 전했다.
왕립과학원의 노벨 화학위원회 의장인 요한 외크비스트는 로이터에 “우리 (수상자 최종결정)회의는 오전 9시 30분에 시작하므로 아직 아무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다. 수상자는 선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이후 왕립과학원은 미리 유출된 내용과 동일하게 바웬디·브루스·예키모프 3명을 수상자로 공식 발표, 앞서 아직 수상자가 결정되지 않았다고 해명한 내용이 무색해졌다. 한스 엘레그렌 왕립과학원 사무총장은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이번 일에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노벨화학상 시상을 끝으로 올해 노벨과학상(생리의학·물리학·화학) 시상은 마무리됐다. 노벨위원회는 5일 문학상, 6일 평화상, 9일 경제학상 수상자를 차례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도경 기자, 신창호 선임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