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 전담인력 40% 퇴사… 평균 근속 5개월

입력 2023-10-05 04:03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전국에 설립한 자립준비청년 지원전담기관에서 전담인력 정원의 40%가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근속기간은 5개월에도 못 미쳤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연숙 국민의힘 의원이 4일 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1~9월 전국 자립지원 전담인력 정원 180명 중 40.0%인 72명이 퇴사했다. 퇴사자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4.9개월이었다. 특히 정원 24명 중 6명이 퇴사한 서울의 경우 평균 근속기간이 1.7개월에 불과했다.

복지부는 지난해부터 지역 간 격차 완화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에 자립지원전담기관을 설치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했다. 지난해에는 120명, 올해에는 180명(현원 161명)을 정원으로 했다. 하지만 지난해 39명에 이어 올 들어 9월까지 33명이 퇴사했다. 해당 사업이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것을 감안하면 사업 초반부터 최근까지 줄줄이 퇴사가 이어진 셈이다.

연이은 퇴사 원인으로는 전담인력 1명당 담당해야 하는 자립준비청년 수가 과다한 것이 지목된다. 복지위 소속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이 제출받은 복지부 자료를 보면 전담인력 1인당 자립준비청년 63.4명을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전담인력의 부족은 많은 자립준비청년이 끝내 은둔을 선택하는 상황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난달 20일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발간한 ‘자립준비청년의 복지제도 이용 유형화를 통한 효과적인 지원방안 마련’에 따르면 2017~2021년 자립준비청년은 1만2282명에 달했지만 시설별 관리담당자들과 지속해서 연락이 닿는 청년은 16%에 불과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