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원자 내부 전자의 움직임을 들여다보는 실험 방법을 고안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3일 ‘물질의 전자역학 연구를 위한 아토초(100경분의 1초) 펄스광을 생성하는 실험 방법’과 관련한 공로로 피에르 아고스티니(70), 페렌츠 크러우스(61), 안 륄리에(65)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아고스티니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소속이며, 크러우스는 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륄리에는 스웨덴 룬드대학 소속이다.
노벨위원회는 “이들 세 명은 인류에게 원자와 분자 안에 있는 전자의 세계(world of electrons)를 탐사할 새로운 도구를 건네준 실험들을 한 공로가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전자가 움직이거나 에너지량이 변화하는 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극도로 짧은 파장을 지닌 빛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선보임으로써 미시세계 연구의 신기원을 열었다는 것이다.
전자의 세계에선 영점 몇 아토초만에도 변화가 나타난다. 일반적인 빛으로는 관찰이 불가능하다. 가령 100분의 1초 사이에 일어나는 사건을 셔터 속도 10분의 1초인 카메라로 찍을 수 없듯 100경분의 1초 단위로 사건 변화가 나타나는 전자 세계는 그만큼 극도로 짧은 파장의 빛이 있어야 측정 가능하다. 이를 위한 방법을 만들어냈다는 데 이들이 수행한 연구의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1901년 첫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발표된 이후 올해까지 224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은 X선을 발견한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이다. 역대 여성 수상자는 5명이다. 라듐과 폴로늄을 분리하는 데 성공한 마리 퀴리(1903)가 가장 유명하다. 올해 수상자인 안 륄리에는 역대 5번째이자 2020년 이후 3년 만의 여성 수상자로 기록됐다.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3억5000만원)가 수여된다. 노벨위원회는 4일 화학상, 5일 문학상, 6일 평화상, 9일 경제학상 수상자를 차례로 발표할 예정이다. 노벨상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이 들어 있는 ‘노벨 주간’에 스웨덴 스톡홀름(생리의학·물리·화학·문학·경제상)과 노르웨이 오슬로(평화상)에서 열린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