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알코올 중독자·노숙인 재활시설인 베텔센터(Betel Mongolia)는 수도 울란바토르 중심가에서 약 16㎞ 떨어진 송지노하르한 지역에 있다. 시내를 벗어나 게르(몽골 전통가옥)촌과 대규모 공동묘지를 거쳐 차로 1시간 정도 달리면 도착한다. 지난달 20일 찾은 센터의 공방엔 여성 다섯 명이 양털로 슬리퍼를 만들고 있었다.
“모두 베텔센터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는 분입니다. 일부는 여성 기숙사에, 일부는 가족용 숙소에서 지냅니다.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난 뒤 여기서 가정을 꾸린 분이 있거든요. 우리 가족도 이들 가정과 함께 지냅니다.”
남편 간바드 앗쉬흐(46) 목사와 베텔센터 사역 전반을 이끄는 고르반촐른 다와(45)씨의 말이다. 부부는 이날 남녀 및 가족용 숙소와 예배실, 시설 내 사업장인 비닐하우스와 중고의류 판매점, 카페 등 센터 곳곳을 안내했다. 사업장의 소득 전액은 센터 운영에 쓰인다.
몽골의 알코올 중독 사망률은 매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제 통계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에 따르면 1990년 몽골 인구 10만명당 알코올중독 사망자는 2.55명이었다. 29년 뒤인 2019년엔 이 수치가 518% 증가해 15.77명이 됐다. 알코올 중독은 이미 몽골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센터를 찾은 이날도 현지 경찰이 오전 10시에 음주 단속을 하고 있었다.
그간 2000여명이 거쳐 간 베텔센터엔 입소 비용은 없지만 조건은 있다. 술·담배·마약은 소지할 수 없으며 센터의 치유 프로그램 및 직업훈련, 성경공부와 예배 참여는 필수다. 센터 측은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가급적 1년6개월은 머물 것을 권한다. 이 정도는 있어야 각종 중독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앗쉬흐 목사는 “각종 중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따로 약물을 쓰진 않는다. 100% 예수로만 치료한다”며 “예수를 만나면 어떤 종류의 중독자라도 과거의 상처와 실패에서 완전히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이렇게 단언할 수 있는 건 본인도 알코올 중독자로 살아온 경험이 있어서다. 앗쉬흐 목사는 2000년 기독교로 회심한 이후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났다. 그는 “알코올 중독자의 삶이 얼마나 고된지 내가 잘 알지 않느냐. 이들을 중독의 늪에서 구하려면 나처럼 예수가 필요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알코올 중독자 사역을 위해 부부는 2006년부터 2년간 인도의 베텔센터로 연수를 떠났다. 베텔센터는 국제WEC선교회 소속 선교사가 30여년 전 스페인에서 시작한 비정부단체로 24개국 100여개 도시에서 중독재활센터를 운영한다. 연수를 마친 부부는 2008년 지금의 자리에 센터를 세웠다.
입소자의 돌발 행동으로 힘든 점은 없었는지 묻자 앗쉬흐 목사는 “입소자가 거칠게 나온다고 해서 똑같이 이들을 대한다면 복음의 열매를 맺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를 일으키는 입소자를 보며 ‘내 예전 모습과 비슷하구나. 그럼 이분도 예수를 믿으면 바뀔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면 힘들기보단 기대감이 더 생긴다”고 말했다.
앗쉬흐 목사는 일부 남성 입소자와 함께 공사장에서 일하며 이들의 사회 복귀를 지원해 왔다. 하지만 고령 입소자가 늘면서 다른 일자리를 마련할 필요가 생겼다. 그는 “공사 일은 진입장벽이 낮지만 나이 들면 하기 힘들고 겨울엔 일할 곳을 찾기도 어렵다”며 “나이 든 입소자도 어렵지 않게 일을 익히면서 노동의 가치도 배우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이를 위해 함께 기도해 달라”고 말했다.
울란바토르=글·사진 양민경 기자 grie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