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美-中 파고 속으로… 셈법 복잡해진 ‘韓·中 배터리 합작’

입력 2023-09-28 04:04

한국 배터리 산업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가 중국 배터리 업체 CATL과의 북미 배터리 합작공장 계획을 중단하면서 한국 기업들에 미칠 파장에 이목이 쏠린다.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취지인 ‘탈(脫)중국 공급망’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호재일 수 있다. 다만 한·중 배터리 합작기업으로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향후 윤곽을 드러낼 미국의 ‘외국우려단체’(FEOC) 대상, 해석 범위에 따라 중국과의 합작 프로젝트들이 돌발 변수에 직면할 수 있다.

27일 외신 등에 따르면 포드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에서 건설 중인 합작공장과 관련해 “경쟁력 있게 운영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건설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포드는 CATL과 합작회사를 세워 북미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을 본격적으로 양산하려 했다. 지분 100%를 포드가 갖고, CATL은 기술 라이센스만 지원하는 방식으로 IRA 규제를 우회한다는 구상이었다.

포드는 지난 2월 이런 계획을 발표한 뒤, 미국 정계의 거센 반대에 직면했다. 미국 하원에선 “미국인 세금이 중국으로 흘러가는 것을 볼 수 없다”며 조사에 착수했다. 최근 전미자동차노조(UAW) 파업 사태가 겹치며 결국 철회에 이르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중 관계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포드가) 정치적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산업계에선 포드에 이어 CATL과 합작을 검토해 온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다음 표적이라는 전망도 제기한다.

미국 완성차 기업과 중국 배터리 기업의 ‘IRA 우회로’가 막히면서 한국 배터리 기업을 둘러싼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잇달아 중국 기업과 ‘전략적 동맹’을 체결하면서 흐름을 탔던 ‘한·중 협업’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배터리 셀 제조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중국 야화, 거린메이(GEM)와 손을 잡고 배터리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 전구체 확보에 착수했다. 포스코퓨처엠과 LG화학, 에코프로 등도 중국 화유코발트 등과 니켈, 양극재, 전구체 합작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소재 확보가 절실한 한국과 공급망 규제를 벗어나려는 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한 것이다.

산업계에선 한국 기업들도 미국의 ‘탈중국 잣대’에 따라 현재 사업 범위를 수정해야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고성은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미국이 외국우려단체 지정을 통해 중국과의 합작사도 세액공제(보조금) 대상에서 제외한다면, 최악의 경우 사업을 철회하거나 다른 파트너를 구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LG화학은 최근 화유그룹 산하 유산과 LFP 양극재 합작공장 설립을 추진하면서 미국의 외국우려단체 지정 결과에 따라 두 회사 간 지분율을 재조정한다는 단서를 달기도 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