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vs 李 벼랑 끝 격돌… 백현동·대북송금 사안마다 불꽃 공방

입력 2023-09-27 04:07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지자들이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우리가 이재명이다” “구속영장 기각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이 대표 지지 집회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신자유연대 등 보수단체 회원 50여명이 “사법방해 이재명 구속” 등을 외치며 맞불을 놓는 모습. 뉴시스, 연합뉴스

헌정 사상 처음으로 제1야당 대표를 구속 심사대에 세운 검찰과 정치생명의 최대 위기를 맞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영장실질심사에서 벼랑 끝 사투를 벌였다. 검찰은 위증교사 혐의,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에서의 회유 의혹 등을 중심으로 증거인멸 우려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 변호인단은 검찰이 구성한 혐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법원에 출석할 때는 침묵했던 이 대표도 유창훈 영장전담 부장판사 앞에서는 ‘혼신의 항변’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이 대표의 영장심사가 열린 서울중앙지법 321호 법정에선 백현동 개발특혜 의혹을 시작으로 대북송금 의혹, 위증교사 사건을 둘러싼 공방이 차례로 이어졌다. 검찰은 심사 시작부터 2시간40분가량을 할애해 이 대표 배임 혐의와 관련해 구속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사건 관계인들의 진술과 사업 특혜 과정이 적힌 공문서 등 인적·물적 증거를 종합하면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 대표의 ‘권력형 지역토착비리’임이 명백히 입증된다는 주장이다.

이 대표 측은 혐의 성립 자체를 부인했다. 이 대표도 심사 과정에 참여해 적극적으로 항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한 푼의 이익도 취한 게 없다”며 장기간 이어진 검찰 수사에 대한 억울함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을 둘러싼 공방에선 이 대표의 인지 여부와 증거인멸 우려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됐다. 이 대표는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에게 부정한 청탁을 받고 북한에 보낼 스마트팜 사업비와 방북비용 800만 달러를 쌍방울에 대납시킨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재판 과정에서 회유·압박 의혹 등을 근거로 구속 수사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부지사가 돌연 ‘이 대표에게 방북비용 대납을 보고한 적 없다’는 내용의 자필 편지를 쓴 배경에도 민주당 측의 개입이 있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 대표 측은 쌍방울에 대납을 요청한 적이 없다는 주장을 고수했다. 북한에 전달된 800만 달러는 이 대표와 무관한 쌍방울의 독자적인 대북사업 관련 비용이라는 취지다. 이 전 부지사 등 실무자들이 추진한 세부적인 사업 과정까지 도지사가 보고받진 않는다는 입장도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 측 변호인인 박균택 변호사는 9시간 넘게 진행된 구속심사가 끝난 뒤 기자들에게 “(이 전 부지사 진술 번복과 관련해) 이 대표가 관여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문제점을 많이 지적했다”고 말했다. 또 “두 개 검찰청이 1년 반에 걸쳐 광범위한 수사를 해서 별로 인멸할 증거 자체가 없다는 것이 우리 입장”이라고 했다. 그는 심사에서 이 대표 건강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법원 앞 삼거리에서도 치열한 장외전이 펼쳐졌다. 이 대표 지지자들과 보수단체 회원 수백명이 대로를 사이에 두고 각자 목소리를 높였다. 영장심사가 열리기 전부터 모인 지지단체들은 파란색 우비를 입고 “영장 기각”을 외쳤다. 반대편에선 “사기단식” “증거인멸” 등 맞대응 구호가 이어졌다.

임주언 신지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