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와 경북도 부동산 시장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미분양 주택은 다른 지역보다 많은데 올해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이 상위권을 기록 중이다. 지난 1~8월 누적 기준 전국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 중 두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15.6%에 달한다. 수요는 줄고 있는데 주택만 더 짓는 상황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의존도가 높은 건설사 부실을 더 키울 수 있다. 주택 경기가 살아나는 수도권과 지방 간 집값 격차를 더 벌릴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6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8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주택건설 인허가 가구 수가 가장 많은 지자체는 경기도다. 1~8월 누적 기준 5만621가구가 인허가를 받았다. 이는 같은 기간 누적 인허가 규모(21만2757가구)의 23.8%에 달하는 수준이다. 두 번째로 인허가 가구 수가 많은 지역으로는 서울이 꼽혔다. 전체의 9.1% 수준인 1만9370가구가 인허가를 받았다. 이들 두 지역의 인허가 물량이 전체 인허가 가구 수의 32.9%를 차지한다. 전반적으로 건설 경기가 침체해 있지만 수도권 지역은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다.
경기도와 서울 다음으로 인허가 가구 수가 많은 지역으로는 충남도(1만7336가구)와 경북도(1만5903가구)가 이름을 올렸다. 비중으로는 각각 전체의 8.1%, 7.5%에 달하는 규모다. 수치만 보면 건설 경기가 그나마 좋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내용이 문제다. 이날 국토부가 발표한 미분양 실적을 보면 충남도와 경북도의 미분양 가구 수는 각각 6234가구, 8199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편에 속한다. 미분양 가구 수가 가장 많은 대구시(1만779가구)에 이어 2위와 3위 수준이다. 미분양이 많다는 얘기는 그만큼 주택 수요가 적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신규 주택 건설이 늘어나게 되면 미분양 상황이 심화할 수 있다.
정부가 신규 주택 공급을 골자로 이날 발표한 부동산 대책은 우려를 더 키운다. 정부는 지난해 8월 부동산 대책을 통해 5년간 270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으로는 47만 가구를 제시했지만 지난달 기준 달성률은 45.3%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을 보완하겠다며 내놓은 공급 대책에는 지역별 ‘안배’가 담기지 않았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수흥 의원은 “‘부실 지역’에 대한 세밀한 분석 없는 주먹구구식 공급책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지적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