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찬 광복회장이 25일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게 공개서신을 보내 건국절 주장이 잘못됐다는 점과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점을 인사청문회에서 분명히 밝혀 달라고 주문했다.
이 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요즘 뉴라이트에서 ‘임시정부가 몇 사람이 모여 만든 임의단체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우리는 일본의 식민이었다’고 이야기하는데 이건 큰 오류를 범하는 것”이라며 강조했다.
이 회장은 “1948년 대한민국이 건국됐다는 주장은 천부당만부당하다”면서 유 후보자가 이명박정부 문체부 장관으로 있을 때 벌어졌던 ‘건국절 논란’을 재소환했다. 이 회장은 “2008년 정부가 ‘건국 60주년’ 행사를 개최해 김영일 당시 광복회장 등이 일제히 반발했던 일을 기억할 것”이라며 “당시 유 장관은 광복회장에게 사과하고 ‘건국 60주년’ 책자를 거둬들이며 임정 법통을 확실히 하는 책자 발간도 약속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1919년 상해 임시정부에서 민주공화제로 나아가겠다는 이야기를 처음 시작했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시작을 1919년으로 봐야 한다”며 “1948년은 건국이 아니라 정식 정부가 수립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를 두고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1920년 10월 24일자 미국 뉴욕 트리뷴지 기사에서 ‘한인 독립투쟁가들이 볼셰비키와 손잡은 것은 공산주의 신조 때문이 아니라 오직 일본으로부터 한국을 해방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한 대목을 소개하며 “홍 장군을 공산당이라 뒤집어씌우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홍 장군을 지금 북한 공산주의와 혼동시키지 말라”며 “홍범도를 공산주의라고 배척한다면 카자흐스탄 50만 동포는 다 배척해야 한다. 그런 어리석은 짓을 왜 해야 하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회장은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육사의 정신적 뿌리를 국방경비대사관학교라고 밝힌 것을 두고도 “국방부 장관이란 사람이 ‘군의 원조가 어디냐’고 하니까 일본놈 잔재들이 모여 만든 국방경비대라고 하고. 이것 참 큰일”이라고 꼬집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