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중국 화유그룹과 손잡고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에 뛰어든다. 리튬 가공과 니켈 제련, 전구체로 이어지는 양극재 소재의 수직 계열화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22일 중국 화유그룹과 양극재 공급망에 대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LG화학과 화유그룹 산하 유산은 오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모로코에 연산 5만t 규모의 LFP 양극재 합작공장을 짓는다. LFP 양극재는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보다 에너지 밀도가 낮지만 가격 경쟁력은 높다. 모로코 공장은 북미 지역에 공급할 LFP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모로코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이다. 이곳에서 생산한 양극재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또한 LG화학은 모로코에서 화유그룹 산하 화유코발트와 리튬 컨버전 플랜트 사업을 추진한다. 컨버전 플랜트란 리튬 정광(리튬 광석을 가공해 농축한 고순도 광물)에서 양극재 생산에 필요한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추출하는 시설이다. 모로코 리튬 컨버전 플랜트는 2025년까지 연산 5만2000t의 리튬 양산 체제를 마련하고, 모로코 LFP 공장에 리튬을 공급한다.
이밖에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인도네시아에서 연산 5만t 규모의 전구체 공장 설립을 검토한다. 니켈 광석에서 니켈 중간재(MHP)를 추출하는 제련 공장 설립도 논의할 계획이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