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하철 출입구를 건물 내로 이전·설치하면 용적률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시민 보행로 확보와 동시에 지하철역과 연결된 다양한 경로가 생기면서 지역 상권까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건물 내 지하철 출입구와 연결통로를 설치하면 기존 지하철 출입구 설치 면적에 대한 혜택에 더해 연결통로 공사비에 대해서도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20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연결통로 설치 시 용적률 적용 산정식에서 기부채납계수를 1.0에서 1.2로 강화한다. 기존 공사비·면적으로 얻을 수 있는 용적률보다 20%를 더 받을 수 있는 셈이다.
도심 내 보행환경이 열악한 역세권의 지구단위계획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구역 내 사업 추진 시에는 지하철 출입구와 연결통로 설치를 공공기여로 우선 검토한다. 또한 역세권 사업지 특성에 따라 사업자가 원하는 완화항목(용적률·건폐율)으로 자율적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시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1~8호선 역사 출입구 1442곳(역사 275곳) 중 건물과 출입구가 연계된 곳은 69곳에 불과하다. 전체 지하철 출입구의 4.8% 수준이다. 이로 인해 지하철 출입구가 건물과 별도로 설치되면서 보도폭이 줄어들어 시민의 보행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반면 일본 등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지하철 출입구를 건물과 같이 설치하고 있다. 일본 도쿄의 신주쿠역 같은 경우는 지역 내 다양한 건물과 연결되면서 출입구가 100개 이상이다. 시 관계자는 “5m 폭의 보도에 지하철 출입구가 3m를 차지하고 있으면 걸어다닐 곳이 2m밖에 없다. 보행 불편 해소가 가장 큰 목표”라면서 “출입구들이 안으로 가면 일본처럼 건물 및 가로변이 활성화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