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청년미래센터’를 통해 가족돌봄청년(영케어러)과 고립·은둔청년 대상 통합지원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19일 당정협의회에서 가족돌봄청년, 고립·은둔청년 등의 복지 지원정책을 담은 ‘청년 복지 5대 과제’를 발표했다. 이번 과제에는 가족돌봄청년, 고립·은둔청년 등 취약청년에 대한 정부 차원의 첫 지원책이 담겼다.
우선 정부는 내년부터 4개 시·도에 청년미래센터(가칭)를 신설해 가족을 돌보며 생계를 책임지는 만 13~34세 가족돌봄청년과 사회적 교류가 적은 고립·은둔청년을 통합 지원할 계획이다. 가족돌봄청년은 약 10만명, 고립·은둔 청년은 51만6000명으로 추정된다.
청년미래센터는 학교·병원·지역과 협력해 가족돌봄청년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청년 특성에 맞춰 상담·돌봄·가사 등을 지원한다. 센터당 돌봄 코디네이터 6명을 배치하며, 이들은 긴급상황 현장출동 등 밀착 사례관리에 나선다. 특히 저소득층 가족돌봄청년의 경우 학업·취업 준비에 나설 수 있도록 자기돌봄비로 연 200만원을 지원한다. 내년 지원대상은 960여명이다.
고립·은둔청년도 청년미래센터를 중심으로 지원한다. 고립·은둔청년의 경우 주거지 등 제한된 장소에 머물며 외부와 단절하고 있기 때문에 발굴이 어렵다. 정부는 소셜 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전화 등 모든 연결통로로 지원 서비스를 적극 홍보하고 탈(脫)고립 의지가 있는 청년의 자발적 신청을 유도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청년 지원정책 배경에 대해 “집값 상승, 고금리, 계층의 세대 간 대물림 등 기존 복지체계의 한계로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청년들의 채무부담이 증가하고 있서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아동복지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보호가 끝나 홀로서기를 준비하는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수당의 경우 올해 월 40만원에서 내년 월 50만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청년 복지 5대 과제를 위해 내년도에 올해 예산 대비 43% 증가한 3309억원을 편성했다.
차민주 기자 lal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