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창문을 통해 도착역 이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시민들의 지하철 역명 시인성 확보를 위해 승강장 안전문(스크린도어) 역명 표지 부착 및 구형 전동차(2·4호선) 내부 행선안내기 개선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승강장 안전문에는 도착역명을 표기한 스티커가 일부 부착돼 있었으나 글씨가 작고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시는 역명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표지 디자인을 개선하고 글씨 크기를 대폭 확대했다. 또 승강장 안전문의 가동문과 고정문에 각각 소형·대형 역명 표지를 부착해 좌석과 출입문 모두에서 사각지대 없이 도착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외국인 관광객 등도 도착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지에 역 번호도 추가했다. 시는 지난달 1~8호선 전 역사(275개역)에 적용을 완료했으며, 9호선과 우이신설선의 경우엔 이달 중으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2·4호선 구형 전동차의 행선안내기 정비도 완료했다. 2호선의 경우 국문 역명 표출시간이 기존 15초에서 59초로 293%, 4호선의 경우 기존 52초에서 95초로 83% 늘어났다.
기존 행선안내기는 도착역 등 필수정보 대신 진행방향, 역 인근 정보 등 부가정보 위주로 안내하고 있다. 시민들 사이에서 역명을 한 번 놓치면 확인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우선 시는 2호선 행선안내기 내 ‘이번역은’, ‘00행으로 가실 고객께서는’과 같은 불필요한 안내 문구를 줄여 도착역명 표시 시간과 빈도를 늘렸다. 4호선의 경우엔 상단에 도착역명을 고정 표출하고 하단에 부가정보를 표출해 역명을 상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일반 시민이나 노약자는 영문 정보보다 국문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점을 고려해 국·영문 정보 표출시간 비율을 기존 1대 1에서 2대 1 이상으로 개선했다.
시는 향후 신형 전동차 행선안내기도 도착역명을 상단에, 기타 정보는 하단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윤종장 시 도시교통실장은 “앞으로도 서울시는 시민들의 편안한 지하철 이용을 위해 다양한 불편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