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청소부’ 소똥구리, 멸종 50여년 만에 돌아온다

입력 2023-09-14 04:02

소똥으로 동그랗게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소똥구리(사진)를 50년 만에 다시 볼 수 있게 됐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13일 소똥구리의 야생복원을 위해 충남 태안군 신두리사구에 소똥구리 200마리를 방사했다고 밝혔다. 한반도 전역에 서식했던 소똥구리는 구충제와 농약 남용, 공장식으로 변화한 축산 환경 등으로 1960~70년대에 급격히 감소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공식적인 발견 기록이 없어 대부분 절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국립생태원은 2019년부터 몽골에서 소똥구리를 도입해 기초생태연구 및 인공증식기술 등을 연구해왔다. 그동안 200마리 정도를 증식했고, 이번 자연 방사를 통해 소똥구리가 실제 생태계에서 서식할 수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신두리사구의 소똥구리 개체군이 1000마리까지 늘어날 경우 복원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소똥구리는 가축의 배설물로 경단을 만들어 땅속에 묻은 뒤 알을 낳는다. 이 과정에서 토양에 유기물질과 영양분이 공급되고, 가축 분뇨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분해돼 ‘자연의 청소부’ 역할을 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미래 세대가 소똥구리를 생태계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증식기술을 고도화하고 서식 환경을 개선하겠다”며 “수염풍뎅이와 닻무늬길앞잡이 등 복원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