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쌍방울그룹 불법 대북송금 의혹으로 조사한 검찰이 12일 추가 조사 진행 후 다음 주 초쯤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정대로 절차가 진행되면 체포동의안이 오는 21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되고, 25일 국회 표결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 대표가 단식으로 건강이 악화할 경우 일정이 지연될 수 있다.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영남)는 12일 조사가 이뤄지면 이 대표에 대한 피의자 조사를 종결할 방침이다. 검찰은 이후 ‘백현동 의혹’과 ‘대북송금 의혹’을 묶어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이 대표 측이 12일 조사를 일단 거절하면서 추가 조사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민주당은 조사 일정은 추후 협의하겠다고 했다. 검찰 안팎에선 2차 조사 여부와 무관하게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한 검찰 간부는 10일 “언제까지 수사 일정이 미뤄질 수는 없고 마무리가 돼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 측은 지난 9일 약 11시간 검찰 조사를 받은 후 “예상했던 증거라고는 단 하나도 제시받지 못했다. 근거가 되지 않는 정황들, 도정 관련 얘기로 긴 시간을 보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이 대표가 조사 내내 구체적 진술을 거부했고, 질문과 무관한 반복적이고 장황한 답변, 말꼬리 잡기 답변으로 일관해 조사에 차질을 빚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조사 후 조서 열람에서도 120쪽 중 40쪽 분량만 확인한 뒤 2시간40여분 만에 열람을 중단했고, 조서에 서명날인을 하지 않았다. 이 대표 측은 “이 대표의 말 취지가 반영 안 된 부분이 많아 열람 의미가 없었다”고 말했다. 반면 검찰은 “이 대표 측이 진술이 누락됐다고 억지를 부리고, 정작 어느 부분이 누락됐는지는 대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퇴실했다”고 반박했다. 검찰은 향후 영장 청구시 이 대표가 검찰 조사에 불성실한 태도로 임했다는 점을 부각시킬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과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진술을 두고 첨예한 공방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의 증언 및 각종 물적 증거 등을 통해 제3자 뇌물혐의가 입증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김 전 회장은 최근 법정에서 “북한에 돈을 보내는 등 중요한 상황 때마다 이 전 부지사를 통해 이 대표와 통화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반면 이 대표는 “김 전 회장과 이 전 부지사의 진술은 일관성이 없으며, 특히 구속 재판 중에 계속 수사를 받는 등 궁박한 처지에 있어 신빙성이 의심스럽다”고 반박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