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와 신학림 전 언론노조위원장 간 인터뷰의 허위성을 확인한 검찰이 특별수사팀을 꾸리고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터뷰가 대선 사흘 전 보도된 점, 유력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을 겨눈 거짓 내용을 담고 있었던 점에서 치밀한 계획이 선행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검찰 의심이다. 검찰 안팎에선 수사가 허위 인터뷰의 ‘최종 수혜자’ 격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부장검사)은 7일 청탁금지법 위반 등 혐의로 신씨를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신씨가 2021년 9월 김씨와 인터뷰를 하게 된 이유와 경위, 김씨에게서 송금받은 1억6500만원의 대가성 여부 등을 조사했다. 신씨는 김씨와 ‘윤석열 대통령이 2011년 검사 시절 부산저축은행 수사에서 대출 브로커인 조우형씨 사건을 무마했다’는 취지로 인터뷰를 하고, 대가로 돈을 받았다는 의심을 받는다. 김씨로부터 대장동 의혹 속 ‘그분’은 이 대표가 아니라는 취지의 진술을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남욱 변호사도 이날 참고인으로 검찰에 출석했다.
허위 인터뷰 의혹 당사자인 김씨가 이날 풀려나면서 검찰은 수사의 고삐를 조이는 모습이다. 대장동 의혹이 불거진 이후 수차례 증거인멸을 시도해온 것으로 의심되는 김씨와 관계자들 간 말맞추기 우려도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를 중심으로 검사 10여명이 투입된 특별수사팀이 구성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추가 수사 뒤 김씨와 신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검찰은 우선 윤 대통령의 수사 무마 의혹 자체는 사실이 아니라고 판단한 상태다. 2011년 조씨가 부산저축은행 관련 대검 중수부 수사를 받을 당시, 대장동 관련 부분은 조사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김씨의 발언 내용이 허위인 점은 확인됐다”며 “이후 (신씨에게) 제공된 금품의 대가 관계 등을 확인하기 위해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3월 대선이 임박한 시점에서 대장동 ‘몸통’ 의혹의 프레임을 윤 대통령 쪽으로 돌리는 허위 인터뷰가 나온 경위와 이를 기획·준비한 세력의 존재 여부도 핵심 규명 대상이다. 검찰은 김씨가 2021년 9월 인터뷰를 전후해 이 대표 주변인사들과 연락한 기록이 있는지도 확인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유력 언론인을 거액의 돈으로 매수해서 허위 인터뷰를 하고, 그 인터뷰가 대선 직전에 유포됐다는 게 사안의 본질”이라며 “인터뷰 경위와 대가성을 비롯해 배후 세력까지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