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 군사협력 말아야”… 尹, 북·러 무기거래 경고

입력 2023-09-07 04:06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자들과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 대통령,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리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국제사회의 평화를 해치는 북한과의 군사 협력 시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어 “어떤 유엔 회원국도 불법 무기거래 금지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규정한 대북 제재 의무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 비공개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특히 윤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만간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러 간 무기 거래를 논의할 것이라는 미국 언론 보도에 대해 백악관이 사실상 인정한 이후 나왔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이 러시아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북·러 간 무기 거래와 군사 밀착 움직임을 명백히 불법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우려와 경고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분석됐다.

윤 대통령은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아세안 국가들의 공조 강화를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에 중대한 위협이자 국제 비확산체제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아세안이 계속 힘을 보태 달라”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의 주요 자금원인 가상자산 불법 탈취와 노동자 송출을 차단하는 데에도 아세안이 적극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같은 장소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해서도 북핵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단합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좌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북한은 전례 없는 빈도로 도발을 지속하고 있다”면서 아세안과 중·일 정상을 향해 “북한 핵·미사일 개발의 자금원으로 활용되는 해외노동자 송출과 불법 사이버 활동의 차단을 위한 공조에 여러분의 관심과 협력을 부탁한다”고 밝혔다.

또 한·중·일 3국 간 협력 강화 필요성을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이른 시일 내 한·일·중 정상회의를 비롯한 3국 간 협력 메커니즘을 재개하기 위해 일·중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최근 한·일 관계의 개선을 통해 한·미·일 3국 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듯이 한·일·중 3국 협력의 활성화는 ‘아세안+3’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아세안+3’ 정상회의에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리창 중국 총리가 참석했다. 윤 대통령과 리 총리의 공식 대면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카르타=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