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전국 첫 ‘1만원 주택’ 1000가구 공급한다

입력 2023-09-07 04:01
전남형 만원주택 조감도. 전남도 제공

전남도가 ‘전남형 1만원 주택 사업’을 추진한다. 청년인구의 유출을 막고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전남도는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청년층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전남형 1만원주택 사업’과 관리조직 운영 등 총 2893억원 규모의 청년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마련한다고 6일 밝혔다. 사업비는 도비, 광역소멸기금으로 활용된다.

전남형 1만원 주택은 신혼부부를 위한 전용면적 84㎡(32평형) 이하의 주택, 청년을 위한 전용면적 60㎡(17평형) 이하의 주택을 신축해 보증금 없이 월 1만원의 임대료로 최장 1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다. 1만원 주택은 인구소멸지역으로 분류된 16개 군에 2035년까지 1년에 100~200호씩 순차적으로 균형 있게 건립된다.

또 월 1만원의 임대료가 지속되도록 운영비 재원을 별도 마련하기 위한 기금도 조성한다. 현재 운용 중인 한옥발전기금 530억원에 추가로 150억원을 출연, 총 680억원 규모의 가칭 ‘청년주거안정 및 한옥 기금’을 전국 최초로 조성할 계획이다. 기금이 조성되면 전남형 만원주택 운영에 필요한 비용 상당 부분을 감당할 수 있어 청년층의 임대료 상승 걱정이 덜어질 전망이다.

전남도는 일부 시·군이 추진하는 1만원 아파트가 협소해 신혼부부가 아이를 낳고 살기에는 어렵다는 의견이 있어 이를 대폭 개선했다. 청년층과 신혼부부가 선호하는 평면 유형을 도입할 계획이다.

전남의 총 인구는 7월말 현재 181만71명으로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 이 중 만 18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인구 감소가 두드려진다. 지난 5년간 전남의 청년인구는 6만7314명이 감소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청년이 돌아오고 머무는 최적의 환경 조성을 위해 그들에게 돌아가는 몫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기존 시·군이 국토교통부의 통합공공임대주택사업으로 반값 주택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군 간 형평성 문제가 있어 도 차원의 전남형 1만원 주택 1000호 사업을 1단계로 추진한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