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전남도 “의료 취약지역에 국립의대 설립” 공동 촉구

입력 2023-09-05 04:03
4일 국회에서 이철우 경북지사, 김영록 전남지사, 정태주 안동대 총장, 송하철 목포대 총장, 박병희 순천대 의대설립추진단장이 ‘의료 최대 취약지 경북-전남 국립의대 설립 촉구’라는 제목의 공동건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와 전남도가 영호남 상생 화합을 넘어 의료복지 확충, 의료격차 해소 등을 통해 지방소멸을 막고 지방 정주시대를 함께 열어가기 위해 국립의대 설립에 손을 맞잡았다.

경북도와 전남도는 4일 국회에서 이철우·김영록 지사와 정태주 안동대 총장, 송하철 목포대 총장, 박병희 순천대 의대설립추진단장이 참석한 가운데 ‘의료 최대 취약지 경북-전남 국립의대 설립 촉구’ 제목의 대정부 공동건의문을 발표했다. 이번 공동건의는 지역민의 오랜 염원이자 숙원인 국립의과대학 설립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지역의 어려운 의료현실을 호소하기 위해 추진됐다.

두 자치단체는 공동건의문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생명권과 건강권은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될 헌법상의 권리이며 이는 보건의료기본법 10조에도 분명히 명시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북도와 전남도의 450만 도민은 오랜 세월 생명권과 건강권을 박탈당하며 수많은 불편과 위험을 감내해왔다”며 “지역의 의료 환경 개선과 부족한 의료자원 확보를 위해 지역 국립의과대학 설립에 정부와 국회가 적극 나서 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특히 두 지역은 지형적 특성상 도서·산간지역이 많아 의료접근성이 매우 취약하고 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등 필수 의료분야는 사라지고 있다. 또 지역 공공의료기관은 고액 연봉에도 필수 의사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중보건의마저 줄어 지역 기초 의료체계가 붕괴하는 참담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현재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경북 1.4명, 전남 1.7명으로 전국 평균 2.1명을 밑돈다. 특히 골든타임이 중요한 뇌졸중, 심근경색 등 중증 응급 분야의 경우 전문의 수, 기준 설치율 등이 모두 평균 미만이다. 인구 10만명 당 치료 가능한 환자의 사망률은 전국 평균 43.8명을 훌쩍 넘는 전남 47.46명, 경북 46.98명에 달한다.

이 지사는 “기존 의대 정원을 증원하는 것만으로는 지역의 근본적인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반드시 지역 국립의과대학을 설립해 도민의 건강을 책임지고 살펴 새로운 지방시대 문을 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무안=김영균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