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관악산 둘레길에 퇴직 경찰 투입, 주민 불안 해소 기대

입력 2023-09-04 04:05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관악구 목골산에서 경찰들이 순찰을 하고 있다. 관악경찰서는 ‘관악 둘레길 산악순찰대’를 한 달 간 시험 운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성폭행·살인 사건’이 발생한 서울 관악산 둘레길 일대에 퇴직 경찰관이 투입된다. 현재 경찰이 한 달간 시범운영 중인 산악순찰대 역할을 이어받을 것으로 보인다.

3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관악구는 지난달 17일 관악산 둘레길에서 발생한 성폭행·살인 사건을 계기로 ‘숲길 안전지킴이’를 최근 신설했다. 50명 규모의 숲길 안전지킴이는 모두 퇴직 경찰관으로 구성됐다. 경찰전직지원센터와 경우회를 통해 모집했다. 경찰로 근무한 현장 경험을 살려 긴급한 상황에 더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는 게 관악구의 설명이다.

숲길 안전지킴이는 4일부터 관악산 국사봉, 장군봉 일대 8개 거점공원과 7개 산책로를 순찰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사건 발생 장소가 포함된 관악산 거점공원 8곳과 5개 코스(12.6㎞)에 가장 많은 32명이 투입된다. 국사봉 1개 코스(3.5㎞)와 장군봉 1개 코스(2.5㎞)에는 각각 10명과 8명이 배치된다. 이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공원과 산책로를 돌면서 수상한 사람이나 범죄 현장을 목격했을 때 경찰과 구청에 신고하게 된다.

퇴직 경찰관 활용은 최근 잇따른 흉악범죄 사건으로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는 경찰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관악경찰서도 관할 내 지구대의 거점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산악순찰대의 경우 한시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 이후의 공백을 숲길 안전지킴이가 메우게 될 것으로 보인다. 관악서 관할 지구대에 근무하는 한 경찰관은 “경찰 인력만으로 부족한 감시망 확대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관악산 둘레길을 자주 걷는다는 주민 A씨(74)는 “(사건이 일어난 곳은) CCTV가 없고 낮에도 어두운 편이라 위험한데 사람이 순찰하며 지킨다면 안심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민간인 신분인 숲길 안전지킴이가 갖는 장비나 권한 등을 감안할 때 현직 경찰관 수준의 치안 업무 수행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들에겐 형광 조끼와 경광봉만 지급된다. 다른 제압 장비나 법적 보호 장치는 주어지지 않는다.

거동 수상자를 발견했을 때 검문 검색할 권한도 없다. 숲길 안전지킴이에 참여하는 B씨(65)는 “퇴직한 지 4년이 됐지만, 범죄자를 제압할 힘이나 기술 면에선 자신이 있다”면서도 “(검문·체포 등은) 현직도 책임지기 어려워하는데, 나중에라도 소송을 당하면 어떻게 하나 걱정도 있다”고 말했다.

관악구청 관계자는 “주민들은 숲길 안전지킴이가 있다는 것만으로 안심할 수 있다. 3개월간 제도를 운용하면서 보완책을 계속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