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50억 클럽’을 수사 중인 검찰이 곽상도 전 의원의 뇌물 혐의 1심 무죄를 뒤집기 위한 막바지 수사에 전력하고 있다. 최근 곽 전 의원과 대장동 사업의 연결 고리를 뒷받침할 만한 증언을 다수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1심 당시 지적된 곽 전 의원의 역할 부분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작업이다. 곽 전 의원 재소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많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최근 천화동인 7호 소유주인 전직 기자 배모씨로부터 “2014년 11월쯤 곽 전 의원, 김만배씨와 함께 골프를 치는 자리에서 곽 전 의원이 ‘은행이나 돈 문제 있으면 얘기해라, 도와주겠다’는 취지로 말했다”는 진술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골프장에서 세 사람이 나란히 서서 찍은 사진도 확보했다고 한다.
검찰은 지난 2월 1심에서 곽 전 의원의 뇌물 및 알선수재 혐의 무죄 선고 이후 곽 전 의원 측이 받은 금액의 대가성 입증에 주력해 왔다. 2심 공판은 아직 열리지 않고 있다.
검찰은 2015년 대장동 일당의 성남의뜰 컨소시엄 구성 당시 호반건설이 하나은행을 회유해 컨소시엄에서 이탈시키려고 하자, 곽 전 의원이 김정태 당시 하나금융지주 회장에게 부탁해 이탈을 막아줬다고 보고 있다. 그 대가로 곽 전 의원이 화천대유에 입사한 아들 병채씨를 통해 퇴직금 등 명목으로 50억원(세후 25억원)을 받았다는 게 기본적인 혐의 구도다.
최근 검찰은 호반건설 김상열 회장에게서 “하나금융지주 회장을 만나 호반건설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하나은행을 끌어오려 했다”는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장동 일당이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엄이 깨질 위기 상황이 존재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1심 재판부의 판단을 뒤집기 위한 것이다.
검찰은 보강 수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곽 전 의원을 소환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곽 전 의원의 아들이 받은 50억원의 성격에 관해 확인했으며, 대장동 사업 과정에서 곽 전 의원의 관여 등을 확인해 나가는 중”이라며 “구체적 소환 시점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