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 ‘3대 펀드 사기’ 재수사에 나선 검찰이 장하원(64)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를 소환 조사했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부장검사 단성한)는 전날 장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 고위 관계자들도 차례로 소환해 조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배임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는 장 대표는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이다.
검찰은 최근 장 대표가 다수의 펀드를 운용하면서 특정 펀드의 환매 대금이 부족해지자 다른 펀드의 자금으로 돌려막은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이다. 장 대표가 개인 자산을 불릴 목적으로 펀드 자금을 불법 운용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지난 7월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사무실과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디스커버리 펀드 자금 일부가 SH공사 임대주택 사업으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장 대표 등 디스커버리 펀드 사태 관련자들이 펀드 운용 과정에서 부정한 이익을 주고받았는지 수사 중이다.
장 대표는 지난해 디스커버리 펀드의 부실 위험을 알면서도 고수익이 보장되는 안전한 투자라고 속여 투자자 370여명에게 1348억원 상당의 펀드를 판매한 혐의로 구속기소됐지만, 같은 해 12월 1심 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당시 재판부는 판매된 펀드의 기초자산이 부실하다는 사실을 장 대표가 미리 알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검찰의 항소로 현재 2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검찰은 라임펀드의 특혜성 환매 의혹과 관련해서도 전날 미래에셋증권과 유안타증권을 압수수색했다. 라임자산운용이 대규모 환매 중단 직전인 2019년 8~9월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일부 유력 인사들에게 특혜성 환매를 해줬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서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이종필 전 라임자산운용 부사장에게 배임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