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이 3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혼 사유로는 금전적 이유가 가장 컸다. 결혼 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청년도 절반 이상이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19~34세 청년의 비중은 36.4%로 집계됐다. 10년 전인 2012년(56.5%) 대비 20.1% 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이는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율(50.0%)보다 13.6% 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자 28.0%, 남자 43.8%로 10년 전보다 각각 18.9% 포인트, 22.3% 포인트 줄었다.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의 순이었다. 결혼자금 부족을 이유로 든 청년의 비중은 여성(26.4%)보다 남성(40.9%)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53.5%였다. 이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특히 여자(65.0%)가 남자(43.3%)보다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다.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동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80.9%에 달했다. 10년 전(61.8%)보다 19.1% 증가한 수준이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이혼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청년(14.9%)보다 9.2% 포인트 많았다.
공평한 가사 분담이 필요하다고 답한 청년은 84.4%였다. 10년 전(59.7%)보다 25% 포인트 늘었다. 다만 실제 부부가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한다고 답한 비율은 41.3%에 그쳤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