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육군사관학교 내 설치된 홍범도 장군 등 독립운동가 5명의 흉상 이전과 관련해 홍 장군의 흉상만 옮기는 방안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28일 ‘육사의 홍범도 장군 흉상 관련 입장’을 내고 “공산주의 이력이 있는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육사에 설치해 기념하는 것은 육사의 정체성을 고려 시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특히 “홍 장군은 1921년 6월 러시아공산당 극동공화국 군대가 자유시에 있던 독립군을 몰살시켰던 자유시 참변과 연관돼 있다는 의혹이 있다”며 “자유시 참변 사태는 1921년 자유시에서 무장해제를 거부한 독립군이 공격당한 사건을 말하는데, 홍 장군은 순순히 무장해제하는 편에 섰다는 평가”라고 지적했다.
국방부는 그러면서 “홍 장군은 청산리 전투에서 같이 싸웠으나 무장해제를 거부하고 만주로 돌아간 김좌진·이범석 장군 등과는 다른 길을 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육사가 교내 충무관 앞에 설치된 홍범도·김좌진·지청천·이범석 장군과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이회영 선생의 흉상을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때아닌 ‘이념 논란’이 불붙었다. 국방부가 육사 내 홍 장군의 흉상뿐만 아니라 국방부 청사 앞에 설치된 홍 장군 흉상에 대해서도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논란은 확산됐다.
이런 상황에서 국방부가 홍 장군의 공산주의 이력을 적시한 별도 입장을 내면서 홍 장군 흉상만 이전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에 힘이 실렸다. 정부 관계자는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그런 논의가 있는 것은 맞다”며 “국방부 청사 앞도 홍 장군 흉상만 빠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인천에서 열린 국민의힘 연찬회에서 “대통령실에서 이래라 저래라 하는 건 모양이 좋지 않은 것 같다. (육사·국방부가) 잘할 것이라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홍 장군의 경우는 조금 논란이 있는 건 사실이라 그런 부분들이 이번 기회에 걸러지는 것도 괜찮겠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국방부의 ‘홍범도 지우기’ 움직임은 해군 잠수함 ‘홍범도함’의 함명 변경 문제로 확대됐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필요하다면 (함명 변경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당 내부에서도 비판 목소리가 이어지는 등 여진은 계속됐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