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현안 질의가 예정됐던 지난 25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가 여당 의원들과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의 불참으로 파행됐다. 잼버리 주무장관인 김 장관은 여야 간 참고인 미합의로 여당 출석이 확정되지 않아 자신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나 김 장관은 국무의원으로서 국회 현안 질의에 나와 성실히 답할 의무가 있다. 대회 책임자가 여당 뒤에 숨어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은 실망스럽다.
이날 김 장관을 찾기 위해 국회 화장실까지 여가부 대변인을 쫓아가 추궁한 야당 의원들도 지나쳤지만, 국회에 있으면서도 출석을 하지 않아 원인 제공을 한 김 장관의 책임이 더 클 것이다. 야당 의원들은 김 장관 출석을 공식적으로 요구하기 위해 ‘국무위원 출석 요구의 건’을 의결했으나 김 장관은 출석통보서를 전달받은 후에도 나오지 않았다. 마땅히 출석해 잼버리 사태를 규명하는 데 협조했어야 했다. 김 장관이 국회 경내에 있었는데도 사실상 상임위에 나오지 못하게 한 여당 의원들의 책임 또한 가볍지 않다. 김 장관이 책임을 인정하면 그것이 현 정부의 책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비칠까 우려한 것인가.
김 장관의 언행이 문제가 된 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0월 잼버리 진행 상황을 묻는 여가위 국감에서 “대책을 잘 세워나서 차질 없이 준비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다. 그러나 열 달 뒤 개막한 잼버리는 폭염대책 미비 등 온갖 문제를 노출했다. 그는 대회 기간 현장을 지키라는 국무총리의 지시를 어기고 새만금 영지가 아닌 인근 숙소에 머물렀다. 태국 지도자의 성범죄 의혹에 대해선 “경미한 것으로 보고받았다”라고 해 사건의 심각성을 이해 못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잼버리 조기 철수가 부산엑스포 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는 “오히려 한국의 위기 대응 역량을 전 세계에 보여줄 수 있다”는 황당한 말로 질타를 받았다. 행사 종료 뒤에는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있다”면서도 “책임 의식이 부족했다는 지적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좌초 위기였던 잼버리를 살린 건 조직위원회가 아니라 국민과 기업, K팝이었다. 행사는 끝났지만 잼버리 준비와 운영 과정의 잘잘못은 철저하게 따져야 한다. 김 장관은 진상 규명에 성실히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