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사진) 방송통신위원장이 임명된 후에도 방통위와 언론단체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이 위원장이 임명된 지난 25일 한국기자협회 등 언론·시민 단체 13곳은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화 이후 가장 참혹했던 언론 탄압·장악 주동자가 방송 독립과 공공성 증진을 위해 만들어진 방통위 수장이 됐다”며 “이는 한국 민주주의의 퇴행이자 언론과 표현의 자유 역사에 닥친 심대한 위기”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여야 합의에 따른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 없이 이 위원장 임명안을 재가했다.
언론장악 저지와 언론개혁을 위한 비상시국회의(언론비상시국회의) 역시 성명을 통해 “민주주의와 자유 언론의 이름으로 (이 위원장 임명을) 단호히 거부한다”며 “이씨의 임명을 강행한 건 언론자유와 언론의 독립성에 대한 명백한 선전포고”라고 강조했다.
언론단체는 그동안 이 위원장 임명에 거세게 반대해왔다. 이 위원장이 과거 이명박정부에서 청와대 대변인, 홍보수석, 언론특보를 거치며 언론 장악에 앞장선 인물이라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방통위 수장이 되기 전부터 전면전을 불사하고 있다. 지난 16일 방통위는 이 위원장의 자녀가 연루된 학교 폭력 관련 의혹을 보도한 MBC에 대해 ‘언론의 본분을 망각한 채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내용은 가짜 뉴스도 증폭시켜 보도한다’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YTN을 상대로는 순차적으로 3억원, 5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YTN은 지난 10일 분당 흉기 난동 사건 피의자 최원종 관련 뉴스 배경화면에 이 위원장의 사진을 10여초간 게재하는 방송사고를 냈다. 이후 20일에는 이 위원장의 배우자 청탁 의혹을 보도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