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매 중단’ 라임펀드, 유력 국회의원 투자금 2억 돌려줬다

입력 2023-08-25 04:04
국민일보DB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라임자산운용이 국회의원 등 유력 인사들에게 특혜성 환매를 해준 정황이 드러났다. 유력 인사들이 손해를 덜 보는 대신 다른 투자자들은 추가로 손실을 떠안은 것이다.

라임자산운용 펀드 사태에 대한 재조사 과정에서 수천억원대 자금 횡령과 부정거래 공모 등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부실 수사 논란도 재점화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4일 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자산운용 등 3개 운용사에 대한 추가 검사 결과 다수의 횡령과 부당거래 등이 적발됐다고 밝혔다. 특히 라임 펀드는 환매 중단 선언 직전인 2019년 8~9월 A기관(200억원), B상장사(50억원), 다선인 C국회의원(2억원) 등에게 투자금을 돌려주기 위해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자금을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펀드 돌려막기는 디스커버리 펀드에서도 발견됐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2019년 2월 자신들이 투자한 해외 특수목적법인(SPC)의 자금 부족으로 만기가 도래한 펀드 3개의 상환이 어렵게 되자 신규 SPC 투자 펀드를 결성해 기존 SPC 자금의 후순위 채권을 인수했다. 실제 목적은 기존 SPC 투자 펀드 상환이었지만, 신규 투자자들에게는 투자대상을 거짓으로 알렸다. 결국 344만 달러(약 45억원) 규모였던 후속 펀드는 원리금을 받지 못했다.

옵티머스 펀드에서도 금품 수수 및 전 임원의 부정거래 공모 등이 확인됐다. 한 공공기관 기금운용본부장은 2017년 6월~2018년 3월 전체 기금의 약 37%에 달하는 1060억원을 옵티머스 펀드에 투자하며 펀드사 임원에게 1000만원의 금품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펀드 운용 비리 사실을 알고도 옵티머스 전 임원이 부정거래 행위에 공모한 정황도 발견됐다. 금감원은 검사 과정에서 추가로 확인된 라임·옵티머스 펀드 투자처가 보유한 자금이 회수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했다.

펀드 자금을 받은 이른바 ‘피투자기업’에서 배임·횡령 혐의 등 부정한 자금 유용 사례도 다수 적발됐다. 라임 펀드가 2017~2021년 사이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사모사채 등을 투자한 5개 회사에서는 횡령 금액만 약 2000억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옵티머스 펀드가 투자한 기업에서도 피투자기업의 임원이 15억원을 임의로 사용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들이 횡령 자금을 어디에 썼는지는 향후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질 전망이다.

뒤늦게 위법 행위들이 적발되며 기존 검사가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금감원은 기존 사모펀드 검사가 불완전판매 등 판매사 중심이었다면 이번 추가 검사는 자금추적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추가 검사는 검사 출신 이복현 금감원장 부임 이후 이뤄졌다.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은 “검사 내용의 상당 부분을 검찰에 통보했다”며 “횡령 등으로 유출된 자금의 최종 용처는 수사 단계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희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