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오염수 시민 불안감 줄여라”… 전국 지자체 비상

입력 2023-08-25 04:04
24일 오후 오염수 해양 방류를 시작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24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가운데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민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비상대책을 분주하게 마련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대폭 늘리고 원산지 표기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에 나선다.

서울시는 주요 도매시장인 가락시장·노량진시장·수협강서공판장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을 대상으로 매일 방사능 표본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특히 기존 휴대용 계측기를 이용한 간이검사 대신 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진행하는 농수산물 정밀검사로 진행할 방침이다. 수산물과 가공식품 방사능·안전성 검사 결과는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 공개하기로 했다. 시는 시민이 방사능 검사를 청구하는 ‘검사 청구제도’를 확대하고, 가락시장에서는 현장검사를 하는 ‘찾아가는 방사능 검사소’도 운영한다.

경기도는 방사능 검사 횟수를 1.5배 확대하고 대응상황실을 운영해 방사능 검사, 원산지 단속, 정보 공개, 수산업·유통업계 지원 등 전체적인 상황 관리를 일원화한다. 인천시는 수산기술지원센터의 방사능 검사 대상을 모든 품종으로 확대했다. 국내 활어의 35%가 유통되는 연안부두 인근에 설치한 수산물 현장검사소는 방사능 등 유해물질 감시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14곳에서 이뤄지는 바닷물 방사능 검사를 28곳으로 늘리고, 검사 대상도 양식 수산물에서 연근해 어획수산물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방사능 정밀검사 장비를 늘리고 대형시장에선 매일 검사를 할 계획이다.

울산·대구시와 강원·충북·전북도 등도 원산지 단속과 검사를 강화한다. 충남도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오염수 방류대응TF를 만들어 방사능 감시를 강화하고, 검사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전남도는 수산물 안전성 검사를 기존 62개 품종, 800건에서 전 품종 1200건 이상으로 확대하고 수입수산물 유통이력제를 17개 품목에서 21개 품목으로 강화한다. 경남도는 방사능 검사를 유튜브로 생중계할 방침이다.

수산물 소비 위측을 막기 위한 움직임도 바빠졌다. 경남도는 예비비 16억원을 확보해 지역 수산물 소비 촉진과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다. 도내 대기업 구내식당에 수산물 납품시 기업 납품가와 시중가의 납품단가 차액을 지원한다. 또 지역축제 등과 연계한 수산물 소비 촉진 행사와 자체 대규모 할인 판촉 행사도 진행한다. 부산시와 전남도 역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를 개최하고, 수산물 안전성 홍보 강화와 수산물 수매 등을 정부에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들은 정부 지원도 호소하고 있다. 경남도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피해보전특별법 제정과 특별재난구역 지정 등을 요구한 상태다. 경북 동해안 5개 시·군(포항·경주·영덕·울진·울릉)으로 구성된 동해안상생협의회도 수산물 피해지역 공익직접지불제, 피해업종 지원을 위한 기금 편성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박재구 문정임 강민한 김영균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