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면 모릅니까, 장사도 안되는구먼. 왜 자꾸 묻습니까.”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하루 앞둔 23일 부산 자갈치시장. 손님보다 상인이 더 많을 만큼 한산한 시장에서 만난 상인은 “장사가 좀 되냐”는 기자 질문에 언성을 높였다.
부산의 대표 수산물시장인 자갈치시장은 썰렁하기 그지없었다. 시장 1층에서 손님과 상인이 가격을 흥정하는 모습은 보기 어려웠다. 한 상인은 “10여년 전 일본 원전사고 때도 손님이 계속 줄다 뚝 끊겼었다”면서 “그때 같은 상황이 반복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지나가는 손님을 붙잡는 상인들의 표정도 밝지 않았다. 다른 상인은 “낮 장사보다 저녁 장사가 그나마 낫지만 오염수 방류 소식이 들리면서 며칠 새 손님이 더 떨어졌다”고 한숨을 쉬었다. 또 다른 상인은 손님들을 향해 “재고가 많아서 도매가에 주겠다”고 외치기도 했다. 한 횟집 주인은 “최근 방사능 검사를 진행하면서 횟감 가격도 올라 이중고를 겪는 셈”이라고 울상을 지었다.
회센터를 찾은 시민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였다. 광어회를 사러 왔다는 박모(59)씨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괜찮다니 그런가보다 했는데 막상 방류한다고 하니 불안해진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나라에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모(62)씨는 “해양 방류는 막을 수 없으니 전 세계가 잘 감시해 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경남의 최대 수산물시장인 마산 어시장도 상황은 비슷했다. 손님이 있는 테이블도 있었지만 하염없이 고객을 기다리는 상인을 더 많이 볼 수 있었다. 한 횟집 주인은 “코로나를 겨우 넘기고 이제 장사 좀 하려나 싶었는데, 오염수 방류 결정으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25~27일 개최 예정인 ‘마산 어시장 축제’도 차질이 우려된다. 심명섭 마산 어시장상인회장은 “전어 축제를 하루 앞두고 오염수를 방류한다는 데 화가 났다”며 “안전하다는 정부 말을 믿고 싶지만 손님들은 영향을 받을 것 같아 속이 탄다”고 했다.
수산업계와 지방자치단체는 시민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국내 연근해 수산물의 30%가 유통되는 부산공동어시장은 지난 21일부터 경매 개시 전 방사능 검사를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검사 결과는 구두로 통보했지만 조만간 결과지를 인증서처럼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부산시는 해수 무인감시망을 2곳에 추가 설치하고, 이동형 방사능 신속분석장비 2대를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또 식품·수산물 방사능 분석장비도 2대 추가해 수산물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경남도는 방사능 검사를 주당 20건에서 40건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수입 수산물 원산지 단속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수산물 안심소비 캠페인과 지역 축제·행사와 연계한 다양한 수산물 소비 촉진 사업도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서울시도 가락시장, 노량진시장 등 주요 도매시장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을 대상으로 매일 방사능 검사를 실시키로 했다. 수입산에 한해 진행하던 검사 대상도 국내산까지 전면 확대한다. 시내 대형마트나 전통시장에서 유통되는 수산물도 별도로 표본검사를 매일 하기로 했다.
부산=글·사진 윤일선 기자, 창원=강민한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