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전북도 ‘잼버리 감사’ 착수… 지역선 “책임전가” 반발

입력 2023-08-22 04:08
새만금 잼버리 감사장으로 사용되는 전북도청 3층 중회의실 문이 21일 굳게 닫혀 있다. 연합뉴스

감사원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파행 운영의 책임 규명을 위해 21일 전북도에 대한 현지 감사에 착수했다. 감사반은 전북도청 3층 회의실에 마련된 감사장에서 잼버리 관련 서류를 제출받아 검토에 들어갔다.

전북도는 감사원이 파견한 수석감사관과 감사반장, 감사관 등 10여명의 감사반 인력이 청내에서 현지 감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도는 감사원에서 새만금 유치 백서와 업무분장 내역 등의 자료 제출을 요구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도는 잼버리 예산 1171억원 가운데 기반시설 조성 205억원과 대집회장 조성 30억원, 강제배수시설 30억원 등 265억원을 집행했다.

감사원은 전북도 현지 감사를 위해 사회복지감사국 1·2·3과 직원들로 감사단을 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감사반은 우선 전북도가 제출한 자료를 검토한 뒤 해당 공무원들을 불러 구체적인 책임 소재를 가릴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 지역 시민·사회단체, 공무원노조 등은 “잼버리 파행의 책임을 전북도로 전가하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전북도의회 기자간담회에서 “잼버리 파행의 덤터기를 전북에 씌워선 안 된다”며 “분명히 원인이 무엇이고 무엇을 고쳐야 하는지를 깊이 따지고 반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책임을 회피·전가하거나 덤터기를 씌우는 식의 진행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공정하고 냉정하게 사실 그대로 잘잘못을 따질 필요가 있다. 전북도 역시 책임질 부분이 있으면 당연히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북도청공무원노조는 성명을 내고 “잼버리 감사에 한정하고 새만금 감사로까지 확대해선 안 된다”며 “잼버리 유치를 새만금국제공항과 도로 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 예산과 결부하려는 데에는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전북 14개 시·군의회 원내대표들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여당과 조직위원회가 파행의 책임을 지라고 촉구했다. 전북애향본부 등 전북 시민·사회단체는 “잼버리 파행 책임에 대한 정치공세가 도를 넘고 있다”면서 “허위사실을 적시해 전북에 책임을 떠넘기는 행태는 개탄스럽다”고 지적했다.

전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