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한·일 관계 공고히 하는 美 외교의 꿈 이뤄”

입력 2023-08-21 04:06

미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과 외신은 한·미·일 정상회의 결과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새로운 외교사적 이정표가 세워졌다고 평가했다. 미국 핵심 동맹인 한국과 일본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중국과 북한의 위협에 대응할 협력체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매튜 크로에닉 스코우크로프트 전략안보센터 수석 이사는 19일(현지시간) 애틀랜틱카운슬 기고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과 같은 독재 국가들의 협력 강화에 맞서기 위해 유럽과 아시아에서 같은 생각을 지닌 민주주의 동맹을 모아 연합을 구축하려 해 왔다”며 “(이번 정상회의는) 새로운 전략적 경쟁 시대에 미국 입지를 향상할 역사적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군사·경제적 위협이 3국 협력 강화의 모멘텀이 됐다고 분석했다. 파커 노박 로위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번 정상회의는 중국의 점점 더 공격적인 행동의 부산물”이라며 “결과적으로 (미·중 간 전략 경쟁 지역인)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제도에까지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머스 신킨 전 제네바군축회의 미국 대표는 “‘캠프데이비드 정신’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정치적 합의이지만 강력하다”며 “특히 3국은 향후 각국의 정치적 변화와 상관없이 계속될 유산을 확립하려고 시도했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바이든 대통령이 캠프데이비드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를 맞이하면서 한국과 일본이 파트너십을 공고히 한다는 미국의 외교적 꿈이 실현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3국의 의견 합치는 (한·일) 양국의 과거를 잊으려 노력한다는 윤 대통령의 결단으로 인해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CBS 방송도 “이번 정상회의의 목적은 역사적으로 냉랭한 관계를 이어온 한국과 일본 사이의 안보와 경제적 유대를 강화하는 것이었다”며 “양국의 긴장은 중국의 부상과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으로 지난 1년간 빠르게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한·미·일 정상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조기경보 시스템 등을 구축하기로 한 것에 대해 “중국에 노출된 위험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NYT는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 중요성’을 언급한 공동성명을 지목하며 “미국과 중국, 대만에 국한됐던 분쟁에 한국과 일본을 끌어들였다. 중국의 당혹감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을 최대 무역 파트너로 둔 한국과 일본에 경제적 역풍이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