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3040세대’ 젊은 행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신한은행 노사는 부지점장 이하 모든 직급에서 15년 이상 근무한 1983년생 이전 출생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합의했다.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만 39세 직원까지 퇴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신한은행 역대 희망퇴직 조건 중 가장 낮은 어린 나이다. 희망퇴직자로 선정되면 연차와 직급에 따라 최대 36개월 치 급여를 특별 퇴직금으로 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말 하반기 희망퇴직을 먼저 마무리했다. 만 15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직원 60명이 짐을 쌌다. 이들에게는 최대 24개월 치 급여가 특별 퇴직금으로 지급됐다. 1968~1971년생 퇴직자는 자녀 학자금과 의료비, 재취업·전직 지원금도 받았다.
지금까지 시중은행이 행원을 내보내는 이유는 디지털 전환이었지만 최근에는 자발적 퇴사 수요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은행권 실적이 좋아 희망퇴직 조건이 후할 때 떠나자’는 인식이 퍼졌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1인당 평균 퇴직금은 5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두 달 새 5대 시중은행을 제 발로 떠난 행원은 2200명이 넘는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