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위급한 소식을 전하기 위해 전남 여수부터 해안 지역을 따라 설치된 봉수(烽燧) 유적이 국가지정문화재가 된다. 16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재위원회 산하 사적 분과위원회는 최근 회의를 열고 전남·전북·충남·경기·인천 지역 내 16개 봉수 유적을 사적으로 지정하는 안건을 가결했다. 사적으로 지정할 때의 명칭은 ‘제5로 직봉’(直烽)이다.
1903∼1908년에 편찬된 증보문헌비고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間峯) 노선을 운영했다. 이번에 논의한 봉수 유적은 주로 서해안에 있는 유적이다. 전남 여수 돌산도에서 서울 목멱산(지금의 남산)을 잇는 ‘제5로 직봉’ 구간 가운데 여수 돌산도 봉수 유적(사진), 논산 황화대 봉수 유적, 강화 망산 봉수 유적 등 총 16곳의 유적이 대상이다.
손영옥 문화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