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가 16일 임시회의를 열고 삼성의 전국경제인연합회 재가입 여부를 논의했다. 하지만 준감위원들의 격론 끝에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오는 18일 2차 회의를 갖고 삼성의 전경련 재가입 적정성을 다시 따져본다는 방침이다.
삼성 준감위는 이날 오후 서울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삼성의 전경련 복귀에 대한 준법경영 위반 위험성 등을 논의했다. 2시간가량 이어진 회의에서 이찬희 준감위원장을 비롯한 내·외부위원 7명은 과거 정경유착 논란이 재현될 가능성 등을 놓고 엇갈린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준감위는 삼성 관계사들의 준법의무 위반 리스크를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독립조직이다.
이 위원장은 회의 종료 후에 취재진과 만나 “다양한 부분에서 여러 의견이 나왔고, 최종적으로 의견을 수렴하지 못해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의 전경련 재가입에)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양한 배경의 위원들이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어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회의엔 이 위원장을 비롯해 권익환 전 서울남부지검장, 김우진 서울대 경영대 교수, 성인희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원숙연 이화여대 행정학과 교수, 윤성혜 전 하남경찰서장, 홍은주 한양사이버대 교수 등 위원 7명이 참여했다.
재계 안팎에선 준감위 판단에 따라 삼성의 전경련 복귀 여부가 판가름날 것으로 본다. 삼성전자 등 5개 관계사는 준감위 결정을 토대로 각사 이사회를 거쳐 전경련 합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전경련은 오는 22일 총회를 열고 명칭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로 변경하고 산하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을 흡수·통합하는 안건 등을 의결할 예정이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